세종대왕 표준영정
세종대왕 표준영정 | |
한자명칭 | 世宗大王標準影幀 |
---|---|
영문명칭 | Portrait of Sejong |
작자 | 김기창 |
작성시기 | 1973 |
소장처 | (재)운보문화재단 |
유형 | 회화 |
크기(세로×가로) | 210.0×180.0㎝ |
판본 | 비단에 채색 |
목차
개요
조선의 제4대 국왕인 세종(1397∼1450)의 표준영정으로, 1973년 김기창 화백이 그린 것이다.
내용
조선의 제4대 국왕인 세종(1397∼1450)의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이다. 1397년(태조 6) 태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閔氏)이다. 비는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1412년(태종12) 충녕대군에 진봉(進封)되었으며,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된 뒤 같은 해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33년간의 재위 기간 동안 유교국가로서의 정치기반을 확고히 했고, 공법(貢法)의 시행 등 각종 제도의 정비를 통해 조선왕조의 기반을 다졌다. 또한 한글의 창제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문화의 융성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450년 54세의 나이로 서거하였다. 능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에 있는 영릉(英陵)이며, 시호는 장헌(莊憲)이다. 표준영정(標準影幀)이란 우리나라의 추앙받는 역사 인물들의 초상화가 여러 형태로 난립하는 것를 방지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한다. 세종대왕의 표준영정은 1973년 김기창 화백이 그린 것이다. 세종대왕은 재위 기간에 초상화(御眞)를 그린 기록이 있으나 임진왜란 이후 전하지 않는다.[1]
부연항목
- 무이구곡도가
- 도산
- 도산서원
- 도산십이곡발문
- 도산십이곡 창작 연도
- 장육당육가
- 한림별곡
- 이별
부연
이황(李滉)이 도산십이곡을 창작한 배경에는, 주희(朱熹)가 쓴 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를 차용하였다는 설이 있다. 주희는 중국 복건성에 자리한 무이산 계곡의 아홉 굽이 경치를 스스로의 도학적 태도와 연계하여 무이구곡도가를 남겼는데, 이와 유사하게도 이황 또한 도산(陶山)에 은거하며 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평소 도학의 주창자로서 주희를 흠모하였던 이황의 시각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도산십이곡에는 이황이 직접 쓴 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이 실려 있다. 이 글의 내용을 살펴보면, 이황은 관능적이고 향락적인 한림별곡(翰林別曲)과 같은 국문시가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세상을 버리고 은거하고자 하는 지향이 가득한 이별(李鼈)의 장육당육가(臟六堂六歌)의 한계 또한 극복할 것을 강조한다. 기존 국문시가의 한계를 떨치고 자연을 노래하면서 올바른 성정을 길러갈 것을 역설한 작품이 곧 도산십이곡인 것이다. 도산십이곡발문 끝에는 글을 쓴 날짜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도산십이곡이 창작된 해가 1565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자료
- 도산십이곡 어부사1.jpg
도산십이곡 표지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 | A는 B를 본보기로 삼았다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도산(陶山) | A는 B의 명칭을 차용했다 | |
세종대왕 표준영정 목판본 | 도산서원(陶山書院)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언지(言志) | 세종대왕 표준영정 | A는 B에 언급된다 | |
언학(言學) | 세종대왕 표준영정 | A는 B에 언급된다 | |
도학(道學) | 세종대왕 표준영정 | A는 B에 언급된다 | |
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 | 세종대왕 표준영정 | A는 B에 실려있다 | |
이황(李滉) | 세종대왕 표준영정 | A는 B를 창작하였다 | 1565년 |
세종대왕 표준영정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장육당육가(臟六堂六歌) | A는 B를 본보기로 삼았다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한림별곡(翰林別曲) | 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 | A는 B에 언급된다 | |
이별(李鼈) | 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 | A는 B에 언급된다 | |
이별(李鼈) | 장육당육가(臟六堂六歌) | A는 B를 창작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65년 | 이황(李滉)이 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세종대왕 표준영정 목판본 | 소장처 | 도산서원(陶山書院) | 36.727560 | 128.843271 |
참고문헌
오프라인 문헌
- 문화체육부 편, 『(선현의)표준영정』, 문화체육부, 1997
온라인 문헌
전문기관 저작물
- 한민족 정보마당 "선현의 표준영정"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보도방송 저작물
- <경남신문> 이상규 기자의 기사 "세종대왕 동상 만든 김영원씨(2009년 10월 2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국민일보> 강창욱 기자의 기사 "세종대왕님, 용안이 왜 다 달라요?(2009년 12월 16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사람일보> 박득진 기자의 기사 "새 만원권 세종대왕 영정 교체되나(2005년 09월 3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환타임스> 김정대 기자의 기사 "서울시의 세종대왕동상 건립 코미디(2009년 11월 2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공공이용 저작물
- 위키백과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나무위키 "표준영정"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공동공간 저작물
- <커뮤니티 모아> 모아게시판 게시물 "세종대왕 어진(2016년 12월 19일)" 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개인공간 저작물
- 개인블로거 진성당거사의 게시물 "이당 김은호, 그리고 세조 어진(!)을 담은 사진 한 장....그리고 사소한 발견(2013년 01월 3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4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