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순천 송광사

Encyves Wiki
김사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1일 (목) 14:08 판 (시각자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순천 송광사
(順天 松廣寺)
대표명칭 순천 송광사
영문명칭 Songgwangsa Temple, Suncheon
한자 順天 松廣寺
주소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등 (신평리)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506호
문화재 지정일 2009년 12월 21일
관리자 송광사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신라시대
창건자 혜린(慧璘)
경내문화재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순천 송광사 국사전,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감로탑,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松光面) 조계산(曹溪山) 서쪽에 있는 신라시대 사찰.

내용

역사

송광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의 하나로 신라 말 혜린(慧璘)이 길상사로 처음 창건하였는데, 건물이 100여 칸에 달하였고 30-40명의 스님이 상주하였다고 한다. 그 후 고려 중기 1200년(신종 3) 보조국사 지눌(普照國師 知訥)이 이곳에 옮겨 와 11년 동안 머물며 수많은 대중에게 가르침을 베풀어 큰 수도 도량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1]

보조국사 이후 2대 국사인 진각국사 혜심(眞覺國師 慧諶)과 조선 왕조가 성립된 직후의 16대 고봉국사(高峰國師)에 의해 각각 크게 중창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절이 크게 불타고 승려들이 쫓겨나는 수난을 겪었다. 이후 인적이 끊겨 폐사 지경에 이르렀는데 임진왜란 전후에 부휴대사(浮休大師)가 들어와 송광사의 명맥을 다시 이었다. 이후 송광사는 1842(헌종 8)에 큰 불을 만났으며 그 이듬해부터 1856년(철종 7)까지 다시 크게 중창되었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크게 파손되었다가 조금씩 복구·중창되었으며, 근래에는 대웅보전을 새로 짓는 등 대규모 불사가 있었다.[2]

특징

송광사는 지눌을 비롯해 16명의 국사가 나와, 위대한 승려가 많이 나온 사찰이라는 뜻에서 승보사찰이라고 한다. 또한 송광사는 국보 제42호인 목조삼존불감, 국보 제56호인 국사전, 화엄경변상도 등 국보 3점,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13점, 지방문화재 8점 등 가장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사찰로도 유명하다. 송광사에서 조계산 동쪽으로 넘어가면 선암사가 있다.[3]

창건설화

신라 말기 혜린(慧璘)이 제자들과 깊은 산속에서 수도하던 중 제자들이 괴질에 걸려 괴로워하자 혜린은 부처님의 구원을 빌다가 문수보살 석상을 발견하였다. 그 앞에서 칠일기도를 한 마지막 날, 꿈에 석가여래가 나타나 혜린에게 새 절터를 찾아 절을 세우고 중생을 구제하라고 하였다. 대사가 깨어 보니 제자들은 모두 병이 나아 있었다. 대사가 다시 문수보살 석상 앞에서 가는 길을 인도해 달라고 기도하자, 노승이 나타나 석가모니의 불보(佛寶)를 전해 주며 송광산에 절을 지어 불법을 전하라고 하였다. 이에 혜린대사 일행은 송광산으로 가서 절을 창건했다.[4]

송광사에 얽힌 이야기는 하나 더 있다. 보조국사가 절을 세우려 할 때, 그곳에 수천 명이나 되는 도둑 무리가 있어서 무리에게 다른 곳으로 옮겨 가라고 했으나 거부하였다. 그러자 국사가 신력으로 나뭇잎을 수천 마리 범으로 변하게 하여 도둑들을 항복시켰다. 한편, 국사는 도둑 무리가 머물 곳을 정해 주었는데, 그곳에는 마실 물이 없어서 국사가 육환장으로 땅을 뚫어 샘물이 솟도록 하였다. 또 보조국사가 도둑들을 쫓아내려 할 때 그들이 국사의 신통력을 시험하려고 살아있는 물고기를 공양하였는데, 국사가 이를 받아 삼켰다. 도둑들이 국사의 파계 행위를 비난하며 해하려 하자, 국사가 물가로 가서 물고기들을 모두 산 채로 뱉어냈다. 그것이 지금의 송광사 능허교 아래에서 노니는 물고기 떼의 원조라고 한다.[5]

가람배치

송광사의 경내는 산지의 비탈을 이용한 두 개의 큰 석축을 기준하여 맨 위쪽이 수선(修禪) 영역, 가운데가 대웅보전 영역, 아래쪽이 우화각에서 천왕문에 이르는 진입 영역, 이렇게 상·중·하 세 영역으로 나뉘며, 전각 50여 동이 대웅보전과 그 앞마당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듯 모여 있다.[6]

송광사의 가람 배치를 잘 살펴보면 상단·중단·하단 세 영역의 중심축이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조금씩 틀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는 전체적인 축을 따르면서도 부분적으로 자유로움을 지향하는 선종사찰의 한 특성이다.[7]

전체적으로 의상(義湘)이 고안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의 모양을 따라 전각들을 배치하였다고 전한다. 의상의 법계도는 방대한 화엄경의 핵심적 가르침을 210자로 요약한 것으로, 거대하고 복합적인 卍자 모양으로 글자들을 배열한 정방형 도형이다. 대웅전을 비롯한 법당 8동, 임경당을 비롯한 대형 승방 8동, 기타 10여 동의 건물들이 현존하지만, 조선조 말까지도 건물 80여 동이 줄지어 들어차서 처마 밑으로만 다니면 비를 맞지 않았다고 전한다.[8]

사찰 명칭의 변천사

본래 송광사가 신라 말 혜린에 의해 창건되었을 때는 길상사(吉祥寺)라는 자그마한 절이었다. 이후 지눌(知訥)이 송광사를 정혜결사의 중심지로 삼은 뒤 정혜사(定慧社)로 이름을 바꾸고자 했지만 까운 곳에 이미 같은 이름을 가진 사찰이 있어 수선사(修禪社)로 바꾸었다. 수선사라는 이름은 ‘깨달음[悟]은 혜(慧)이고 닦음[修]은 정(定)이므로 정혜(定慧)를 아우르는 것이 선(禪)이 된다’는 뜻을 드러내며, 정혜결사 의지를 담고 있다. 즉위 전부터 보조국사를 존경한 희종이 길상사의 이름을 수선사로 고치도록 친히 글을 써주었다고도 전한다.

이후 조선 초기에 이르면 수선사라는 절 이름은 송광사로 바뀐다. 절 이름의 실마리를 제공했던 송광산은 도리어 조계산으로 바뀌었다.[9]

송광사라는 이름에 얽힌 설화는 세가지가 전해진다.

① 송광사의 한자를 파자해보면 송(松)은 木(十八) + 公으로 18명(木)의 큰스님(公)을 뜻하고, 광(廣)은 불법을 널리 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18명의 큰스님들이 이 송광사 터에서 나셔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펴게 될 절이라는 뜻이 된다.[10]

지눌이 정혜결사를 옮기려던 모후산에서 나무로 깍은 솔개를 날렸더니 지금의 국사전 뒷등에 떨어져 앉다는 전설에서 유래된다. 그래서 그 뒷등의 이름을 치락대(솔개가 내려앉은 대)라 불렀고 이 전설을 토대로 육당 최남선은 송광의 뜻을 솔갱이(솔개의 사투리)라 하여 송광사를 솔갱이 절이라 풀었다고 한다.[11]

③ 지명과 연관된 유래 조계산의 옛이름은 송광산이었는데, 솔갱이(솔개의 사투리)가 많아 솔메라 불렀고, 그것에 유래해서 송광산이라 했으며 산 이름이 절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한다.[12]

3대 명물

① 비사리구시 : 1742년 남원 세전골에 있었던 큰 싸리나무가 쓰러지자 이것을 가공하여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송광사 대중의 밥을 담아 두었던 것으로 쌀 7가마분(4천명분)의 밥을 담을수 있다고 한다.[13]

② 능견난사 : 사찰의 음식을 담아내는 일종의 그릇인 능견난사는 크기와 형태가 일정한 수공예품이다.[14]

쌍향수 : 곱향나무로 불리는 송광사의 명물 쌍향수는 조계산 마루 천자암 뒤뜰에 있다. 두 그루 향나무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쌍향수란 이름이 붙었는데, 나무 전체가 엿가락처럼 꼬였고, 가지가 모두 땅을 향하고 있다. 지눌이 당나라 담당왕자가 송광사 천자암에 이르러, 짚고 있던 지팡이를 꽂았더니 가지가 나고 잎이 피었다고 전해진다. 높이 12m, 수령 800년으로 항상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15]

관련문화유산

지식관계망

  • 지눌, 혜심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천 송광사 혜린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순천 송광사 혜심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순천 송광사 부휴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지눌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혜심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몽여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혼원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혼수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혜근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1373년
성총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수연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승형 순천 송광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권수정혜결사문 순천 송광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천 송광사 국사전 순천 송광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감로탑 순천 송광사 A는 B에 있다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순천 송광사 A는 B에 있다
송광사벽암당부도 순천 송광사 A는 B에 있다
지눌 진영(송광사) 순천 송광사 A는 B에 있다
수선사 순천 송광사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순천 송광사 의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공간정보

  • 고려대장경 소장처 전자지도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주석

  1. "송광사", 승려의 생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배게, 2008. 온라인참조:"송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양대승, 『지도로 배우는 우리나라 우리고장 - 충청 · 전라 · 제주』, 주니어랜덤, 2009. 온라인참조:"송광사",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송광사",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송광사",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배게, 2008. 온라인참조:"송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배게, 2008. 온라인참조:"송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김봉렬『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 솔출판사, 2004. 온라인참조:"순천 송광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배게, 2008. 온라인참조:"송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송광사", 문화원형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1. "송광사", 문화원형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2. "송광사", 문화원형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3. "송광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4. "송광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5. "송광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송광사", 승려의 생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배게, 2008. 온라인참조:"송광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양대승, 『지도로 배우는 우리나라 우리고장 - 충청 · 전라 · 제주』, 주니어랜덤, 2009. 온라인참조:"송광사",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송광사",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국립민속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봉렬『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 솔출판사, 2004. 온라인참조:"순천 송광사",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송광사", 문화원형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송광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송광사", 사진으로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송광사", 시공 불교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참조:"송광사",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전연구사,『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송광사",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순천 송광사",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김위석, "순천 송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순천 송광사", 『두산백과』online.
  • 『대한민국 여행사전』, 터치아트, 2009. 온라인참조:"송광사", 대한민국 여행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정규외,『죽기전에 꼭 가봐야할 국내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참조:"송광사", 죽기전에 꼭 가봐야할 국내여행 1001,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