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정 진영(대곡사)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3일 (월) 19:46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휴정 진영(대곡사).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휴정 진영(대곡사...)
휴정 진영(대곡사) | |
한자명칭 | 休靜 眞影 |
---|---|
작가 | 수인, 보학 |
제작시기 | 1782년 |
소장처 | 의성 대곡사 |
유형 | 진영 |
크기(세로×가로) | 115.9×87.1㎝ |
목차
정의
조선시대 고승인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대곡사의 <휴정 진영>은 1782년에 화승 수인(守印), 보학(普學) 등이 그렸다. 현재 대곡사 진영각에 봉안되어 있다. 한 폭의 바탕에 독립상으로 그려졌으며 하단 중앙 하단에는 화기를 적었다. 이 화기에 의해 제작 연대와 제작 화승을 알 수 있다.
대곡사의 <휴정 진영>은 조사신앙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한 작품이며 그 필치와 묘사가 뛰어나 회화사적으로도 주목되는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대곡사의 <휴정 진영>에서 청허당은 우안칠분면의 단독상으로 그려졌다. 특이하게 가부좌를 틀고 평상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오른손에는 불자를 들고 왼손에는 염주를 들고 있다. 뒷배경은 연지를 그린 병풍으로 장식하였다.
녹색 장삼에 붉은 가사를 걸친 모습으로 얼굴은 중후한 인상으로 그려졌다. 얼굴의 중후한 인상, 적색과 녹색의 두텁고 탁한 색조와 바림 기법, 병풍과 돗자리의 복잡한 배경 등 18세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휴정 진영(대곡사)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휴정 진영(대곡사) | 휴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휴정 진영(대곡사) | 수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휴정 진영(대곡사) | 보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휴정 진영(대곡사) | 의성 대곡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우안칠분면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불자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염주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장삼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가사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82년 | 휴정 진영(대곡사)이 그려졌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4901350 | 128.3771430 | 휴정 진영(대곡사)은 의성 대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4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이용윤, "삼척 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10, 성보문화재연구원 , 1996.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