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Encyves Wiki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
영문명칭 | Stupa of Buddhist Monk Jeongjin at Bongamsa Temple, Mungyeong |
한자 |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 |
이칭 | 봉암사 정진대사원오탑(鳳巖寺 靜眞大師圓悟塔) |
주소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71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문경 봉암사 |
관리자 | 문경 봉암사 |
크기 | 높이 5m |
건립시대 | 고려시대 |
관련승려 | 긍양(兢讓) |
관련탑비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鳳巖寺)에 있는 정진대사 긍양(兢讓, 878-956)의 승탑.
내용
개요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71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5m이다.[1]
각 부분이 팔각을 이루는 이 탑은,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 곳곳에 꽃무늬 조각과 구름·용·연꽃 무늬 등 불교 세계를 상징하는 각종 장식이 화려하다. 탑신의 팔각 몸돌은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조각이 있고, 전면에 자물쇠 모양 조각이 있을 뿐, 전명을 제외한 다른 면에는 조각이 없다.[2]
지붕돌은 지나치게 두꺼워 둔중한 느낌을 주며,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의 머리장식만이 남아 있다.[3]
이 승탑은 봉암사(鳳巖寺)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보물 제137호)을 많이 모방했다. 하지만 기본적인 구성이나 장식을 살피면, 지증대사탑에 비해 간략한 편이며, 비례를 세부적으로 보면 높이에 비해 너비가 좁으며, 지붕돌도 두꺼워 무거운 느낌이 있다.[4]
긍양(兢讓)이 입적한 956년(광종 7)과 그를 기리는 탑비를 세운 965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한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문경 봉암사 | A는 B에 있다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주석
- ↑ "봉암사 정진대사원오탑",
『두산백과』online .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정영호,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영호,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봉암사 정진대사원오탑",
『두산백과』online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정영호,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