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종 표준영정
철종 표준영정 | |
한자명칭 | 哲宗 標準影幀 |
---|---|
작가 | 최광수 |
소장처 | 창덕궁 |
유형 | 표준영정 |
크기(세로×가로) | 205×108㎝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임금인 철종(재위 1849∼1863)의 31세 때 모습을 그린 표준영정.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철종 표준영정>은 한국전쟁 때 화재로 일부분이 소실된 <철종 어진>을 최광수가 복원 이모한 것이다. <철종 어진>은 처음에 창덕궁 주합루에 봉안되어 있다가 종친부 내 천한전으로 이안되고, 1875년 경복궁 망모루로 옮겨졌으며, 1899년에는 선희궁 평락정으로 이봉되었다가 창덕궁 선원전 제10실에 봉안되었다. 이후 한국전쟁 때 부산으로 옮겨졌다가 화재에 의해 화폭 왼쪽 삼분의 일 가량이 소실되었다.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최광수는 화재로 타버린 <철종 어진> 오른쪽 부분을 다시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원본과 똑같이 그려 <철종 표준영정>을 제작하였다
<철종 어진>은 임금이 구군복(具軍服)으로 입고 있는 초상화로는 유일한 예로 조선시대 어진이 다양한 복장으로 제작되었음을 알려 주는 귀중한 자료로, 이한철과 조중묵이 주관화사를 맡고 김하종, 박기준, 이형록, 백영배, 백은배, 유숙 등의 화원이 도와 1861년(철종12년)에 그려진 작품이다. 그림 우측 상단에 “여삼십일세진.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予三十一世眞.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大王)”이라고 쓰인 표제가 있어 이 <철종 어진>이 1861년, 철종의 나이 31세 때 그려진 작품임을 알 수 있다. 표제의 ‘여삼십일세진(予三十一世眞)’은 철종의 친필이며 그 옆에는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哲宗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大王)”이라고 묘호와 존호가 쓰여 있는데 이는 철종 연간 이후에 적힌 것이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1849년 헌종이 승하할 당시에 영의정이었던 정원용이 강화도에 살던 철종을 맞이하러 갔을 때의 기록이 그의 일기인 『경산일록(經山日綠)』에 전한다. 정원용은 철종의 얼굴을 보고 "이마가 각지고 콧마루가 우뚝하며 두 광대뼈에는 귀밑털이 덮여 있다. 귀의 가장자리는 넓고 둥글었으며 입술은 두꺼웠고 손은 컸다" 라고 기록해 놓았다.[1]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철종 표준영정>은 좌안팔분면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 전립을 쓴 군복본이다. 갈색바탕에 붉은 소매를 덧댄 군복 위에 검정색 전복을 입고 있다. 어깨와 가슴에는 검은 색 바탕에 오조룡 무늬로 장식된 보(補)가 부착되어 있다. 가슴의 보 위에는 화려한 무늬가 수놓아진 광대를 두르고 그 위에 청색의 넓은 띠를 둘러 군복의 아랫단까지 내렸다. 오른 손은 붉은 색의 등채를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왼손은 소매 밖으로 나와 있는데 손이 소매 바깥으로 나온 예는 이 <철종 어진>이 처음이다. 왼쪽 뒤편에는 긴 환도가 세워져 있다. 머리에는 영·정조대에 유행한 죽전립(竹戰笠)을 썼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으로 칠해졌으며 외곽선과 이목구비는 짙은 갈색 선으로 표현하고, 눈꺼풀은 고동색 선으로 그렸다. 음영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눈은 검은 동공 주위에 금색으로 홍채를 표현하는 등 정성스럽게 그려졌다. 높은 코와 귀의 넓은 테두리의 묘사는 전해지는 기록의 철종의 모습과 부합하는 면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연잉군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연잉군 초상 | 조선 영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연잉군 초상 | 박동보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연잉군 초상 | 창의궁 장보각 | A는 B에 봉안되어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연잉군 초상 | 경희궁 태령전 | A는 B에 봉안되어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연잉군 초상 | 창덕궁 선원전 | A는 B에 봉안되어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연잉군 초상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연잉군 초상 | 조선 숙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근역서화징 | 연잉군 초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연잉군 초상 | 좌안칠분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사모 | 연잉군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단령 | 연잉군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서대 | 연잉군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각대 | 영조 어진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연잉군 초상 | 영조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철종 표준영정이 제작되었다. | |
1989년 | 철종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65660 | 126.9748840 | 연잉군 초상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정원용, 『(국역)경산일록 : 세계에서 가장 오래 쓴 개인 일기』, 보고사, 2009, 74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황정연, "연잉군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 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조선미, 『왕의 얼굴』, 사회평론, 2012
- 논문
- 진준현, 「숙종대 어진도사와 화가들」, 『고문화』46,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