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
규장각(奎章閣) | |
대표명칭 | 규장각 |
---|---|
한자표기 | 奎章閣 |
이칭 | 내각 |
유형 | 관청 |
창립자 | 정조 |
창립시대 | 조선 |
창립일 | 1776 |
해체일 | 1910 |
관련기관 | 장서각, 조선총독부, 교서관, 홍문관, 예문관, 검서관 |
목차
정의
규장각은 조선 후기 장서의 인쇄, 보관 및 언론의 역할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내용
설립
정조는 즉위 후 외척 및 환관들의 역모와 횡포를 누르기 위한 혁신 정치의 중추로서 규장각의 서립을 추진하였다. 정조는 규장각신을 가장 가까운 신하로 둠으로써 관료기강을 쇄신하고자 하였고, 이에 따라 즉위 5년 2월 규장각의 기능이 본격적으로 정비되기 시작했다. 정조가 1781년(정조 5) 3월 전‧현직 각신(閣臣)들과 내각(內閣)의 이문원(摛文院)에서 『근사록(近思錄)』을 강론한 후 각신들에게 정치적 혁신을 위한 보좌를 당부하면서 시상(施賞)했는데, 이는 가까운 신하의 친족으로 인해 해이해진 관료기강을 바로잡으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1]
역할
- 장서의 보관 및 간행
정서의 보관을 위해 여러 차례 문류 작업히 행해졌는데, 첫 번째 분류 목록은 1781년(정조 5) 약 3만여 권의 중국 책을 대상으로 서호수(徐浩修)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를 ≪규장총목 奎章總目≫이라 하며 이것이 오늘날 규장각도서의 시원(始源)이다. 그리고 우리 나라 책들만을 분류한 것이 『누판고』와 『군셔표기』이다.[2] 또한 어제와 서적의 소장만을 담당하던 규장각은 원년 12월 제학 서명응(徐命膺)의 건의로 교서관(校書館)을 외각(外閣)으로 귀속함에 따라 그 업무가 확대되었다. [3] 이에 정유자(丁酉字, 1777년), 한구자(韓構字, 1782년), 생생자(生生字, 1792년), 정리자(整理字, 1795년) 등의 새로운 활자를 만들어 수천 권에 달하는 서적을 간행하였다.[4] 이때부터 규장각은 역대 국왕 관련 기록 및 각종 서적의 인쇄부터 반포‧소장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문화적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5] 대표적인 규장각 간행 저서로는 일성록, 홍재전서 등이 있다.
- 초계문신의 교육
초계문신제는 과거를 거친 문신(文臣) 가운데 참상관(參上官)‧ 참하관(參下官)을 막론하고 37세 이하의 사람을 의정부에서 선발하여 40세가 될 때까지 교육하는 제도였다. 이렇듯 관료의 재교육을 실시한 목적은 경학(經學)과 역사(歷史)에 밝은 인재를 주축으로 개혁정치를 실현하고자 함이었다. 정조 때의 초계문신은 모두 10회에 걸쳐 138명이 선발되었으며 이들 가운데 반 이상이 이후 높은 관직에 진출했으며 각신으로도 18명이 진출했다. 정조 사후에도 김조순(金祖淳), 김재찬(金載瓚), 서유구(徐有榘) 등 많은 초계문신 출신 인사들이 19세기의 주도적 인물로 성장하였다. [6]
역할 및 기능의 축소
정조 사후 세도정치기가 시작되면서 규장각은 도서를 수장하고 관리하는 기관 정도로 그 역할이 축소되었다. 이후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궁내부(宮內府)의 부속기관이 되었으며, 1910년 일제의 한국병합으로 규장각이 폐지되고 규장각 도서들은 일제 강점기를 전후한 혼란한 시기, 이관을 거듭하면서 증감을 거듭했다. 1945년 해방 이후 규장각은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서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7]
시각자료
갤러리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속삼강행실도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규장각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규장각 | 서유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규장각 | 서명응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규장각 | 홍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규장각 | 승정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규장각 | 예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궤 | 규장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일성록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홍재전서 | 규장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규장각 | 교서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규장각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74-1720년 | 시중사 내부에 규장각을 처음 설치하였다 |
1776년 | 정조가 규장각을 설립하였다 |
1777년 | 교서관이 규장각에 편입되었다 |
1894년 | 갑오개혁 이후 궁내부의 부속기관으로 변경되었다 |
1895년 | 규정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897년 | 명칭이 규장각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
1910년 | 규장각이 폐지되었다 |
1930년 | 규장각이 경성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
1945년 | 규장각이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
주석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용덕, "규장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용덕, "규장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아, "규장각",
『한국사컨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강문식, 「규장각 西庫의 운영과 서적 관리 」, 『한국문화』vol.7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 배제총, 「조선(朝鮮) 정조대(正祖代) 규장각(奎章閣) 검서관(檢書官)」, 『조선사연구』vol.5, 조선사연구회, 1996.
유용한 정보
- 역사저널 그날, "부용지에 규장각을 세운 정조|작성자 역사저널 그날",
『네이버 블로그 - KBS <역사저널 그날> 공식 블로그』online , 작성일:2016.11.29. - 문화재청, "찬란하신 정조, 그리고 정조시대의 규장각",
『네이버 블로그 - 문화재청 공식 블로그』online , 작성일:201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