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석
Encyves Wiki
청석 (靑舃) |
|
대표명칭 | 청석 |
---|---|
한자표기 | 靑舃 |
구분 | 신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대한제국시대 황후와 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는 등 적의를 착용할 때 신는 신발이다.[1]
내용
고대에 신목이 없는 신은 리(履)라 불렀고, 후대에는 혜라고 했다. 혜 중에서 신의 바닥을 홑으로 하면 구(屨)라 하고, 겹바닥 신은 석이라 했다. 석은 신 바닥을 겹으로 하고, 두 겹의 바닥 사이에 나무판을 넣은 것이 특징이다. 본래 석은 신목 없이 신울에 장식이 달리는 형태인데, 명에서 보내온 석은 신목이 달린 형태로 송대에 변형된 형태가 명대까지 유지된 것이다. 조선 후기의 석은 신목이 있는 형태가 유지되다가 정조와 순조 이후 신목이 없는 형태로 변하였다. 신울과 장식인 '구(絇)', '억(繶)', '준(純)', '기(綦)'의 배색 원칙은 오행의 이치를 반영한 색을 쓰되 서로 반대되는 방향[對方]에 있는 색을 사용하는 회차(繪次)의 원칙을 적용했다.[2] 대한제국시대에 심청색 적의와 함께 청말과 청석으로 바뀌었고, 청석은 금으로 구름과 용무늬[雲龍紋]을 새겨서 장식하고 선과 준(純)은 검은색으로 하며, 신발의 끝에 황후는 구슬 5과, 황태자비는 3과를 붙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후 | 청석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태자비 | 청석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황후의 대례복 | 청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황태자비의 대례복 | 청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청석 | 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청석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청석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순정효황후 청석.[4]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6쪽.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67~70쪽.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116쪽.
- ↑ 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석주선, 『화혜리』,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최연우, 「대한제국시대 석(舃)의 고찰 및 한국 석의 형태적 특징의 유래」, 『服飾』 63권 8호, 2013.
- 최연우, 「석(舃)에 적용된 회차(繪次)와 수차(繡次)의 배색원칙」, 『服飾』 64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14.
- 최연우, 「조선시대 석(舃) 연구」, 『服飾』 63권 2호, 한국복식학회,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