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군복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20:4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백관의 군복
(百官의 軍服)
궁중기록화팀
대표명칭 백관의 군복
한자표기 百官의 軍服
분류 군복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무관의 예복으로 장교복 또는 상복이며, 문관의 경우도 무직을 띠고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백관의 군복을 착용해야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활동의 편의를 위해 소매가 좁고 옷자락의 옆과 뒤가 트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2]

복식구성

갑주(甲胄), 전립(戰笠), 전복(戰服), 동다리, 광대(廣帶), 전대(戰帶), 화(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백관의 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군복 갑주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전립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전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동다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광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전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5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
  3. 문화재청, 문화재대관-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4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金正子,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24권 4호, 대한가정학회, 1986.
  • 金賢舜, 「軍服에 對한 硏究 -具軍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문광희, 「조선 후기 甲胄 및 具軍服에 관한 연구-부산 忠烈祠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7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4.
  •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박성실, 김향미, 「조선시대 기능적 馬上衣類의 실증적 고찰」, 『韓國服飾』 2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 李成熙, 「軍服飾의 記號學的 分析-舊韓末 期陸軍服을 中心으로-」,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일러스트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