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8일 (월) 00:05 판 (지식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진 무위사
(康津 無爲寺)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영문명칭 Muwisa Temple, Gangjin
한자 康津 無爲寺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건립시기 7세기
경내문화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정의

전남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1]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2]

1407년(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3]

이 때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그 뒤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4] 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그 당시 지어졌던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버렸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진정 A는 B가 창건하였다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영주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탑비 진정 A는 B를 위한 비이다
영주 비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영주 비로사 삼가동석조당간지주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의상 진공 A는 B의 스승이다
영주 비로사 의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진정비로사를 창건하였다
937년 진정이 이 절에서 입적하자, 태조가 '진공대사(眞空大師)'라는 시호와 함께 '보법(普法)'이라는 탑호를 내려주었다
1126년 인종김부식으로 하여금 불아(佛牙)를 이 절에 봉안하도록 하였다
1385년 환암(幻庵)이 이 절을 중창하였다
1592년 이 절에서 석불상 2구만 남고 모두 불타버렸다
1609년 경희가 이 절을 중건하였다
1385년 환암(幻庵)이 이 절을 중창하였다
1908년 법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타버렸다
1919년 범선이 법당을 중수하였다
1927년 범선이 요사를 중수하였다
1932년 범선이 다시 법당을 중수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참고문헌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