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Encyves Wiki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
대표명칭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Royal Preceptor Seongak at Hoeamsa Temple Site, Yangju |
한자 | 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
주소 |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귀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불교중앙박물관(비신)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8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9월 2일 |
찬자 | 이색(李穡) |
서자 | 권중화(權仲和) |
각자 | 미상 |
서체 | 예서(隷書) |
승려 | 나옹(懶翁) |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회암사지(楊州 檜巖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선각왕사 나옹(禪覺王師 懶翁, 1320-1377)의 비.
내용
개요
높이 3.06m, 너비 1.6m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형식은 당비(唐碑)의 형식을 닮은 복고풍의 것으로 이수(螭首)를 별도로 만들지 않고 비신 윗부분에 두마리의 용을 깊게 조각하고 그 중앙에 제액을 만들어‘禪覺王師之碑(선각왕사지비)' 6자를 새겼다.[1] 비를 지고 있는 돌거북은 큰 돌을 단순한 조각기법으로 새겨 다소 추상적으로 다루어 놓았으나, 비머릿돌에 새겨진 용의 조각은 정갈하면서도 역동적이다.[2] 비문의 글은 이색(李穡)이 짓고, 글씨는 권중화(權仲和)가 썼다. 비는 1997년까지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성묘객의 실화로 일어난 산불에 훼손돼 보존처리된 후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있다.[3]선각왕사의 비는 간략한 내용의 신륵사비도 있고 영전사 탑지로 추정되는 탑지도 있어 비문 자료가 다수이다.[4]
비문
전면
후면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단. - ↑ 행복한 놀부, "양주 회암사 선각왕사비 귀부",
『네이버 블로그 - 절(터) 찾아 떠나는 여행』online , 작성일: 2007년 12월 9일. - ↑ "회암사지선각왕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