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호
답호 (褡𧞤)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답호 |
---|---|
한자표기 | 褡𧞤 |
이칭별칭 | 더그레, 加文剌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관리들이 상복 안에 입거나 사대부의 겉옷 위에 덧입던 옷으로 조선 중기까지는 직령과 같은 형태에 소매만 반수의 였지만 17세기를 지나면서 소매가 없어진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상황
조선시대 답호는 조선 중기까지 왕의 상복과 관리들의 단령 안 받침옷이나 철릭, 직령 등 포 위에 덧입었다.
형태
고려시대 답호는 곧은 깃에 반소매가 팔꿈치에 이르며, 옷길이는 발목까지 오고 옆선에는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 고정된 다중 주름의 무가 달려있으며 옆트임이 있다. 조선시대에 답호는 고려시대와 같이 반수의로 곧은 깃 교임형에 옆선에 무가 달렸고 옆트임이 있다. 기본형태는 직령과 같되, 소매 길이가 짧은 것이 다르다. 답호에는 광다회 등의 실띠를 둘렀는데, 당상관 이상은 붉은 색을 사용하였고 그 이하는 청색 계통의 것을 사용하였다. 직령과 유사한 형태의 답호는 임진왜란 직후부터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답호'라는 명칭은 조선 후기에도 간편한 덧옷용 포를 지칭하는데에 사용되어 그대로 유지되면서 옷의 형태상 변화가 나타난다. 즉 소매와 직사각형 무가 사라지게 된다. 이때의 답호 형태에 대해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무수창의(無袖氅衣)'라고 하였는데, 말 그대로 '소매가 없는 창의'라는 옷이다. 창의는 뒤트임이 특징인데 소매가 없고 뒤가 트였다. 이러한 형태의 답호는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의 탐릉군 묘에서 출토된 답호 유물에서 확인된다.[2]
기타
답호는 중국 원나라때 등장한 의복으로 우리나 기록에는 고려시대 『원간노걸대(老乞大)』에 '대답호, 답호, 답호, 답홀'로 표기되어 있으며 더그레로 언해되어 있다. 고려시대 답호 유물로는 문수사의 답호와 해인사의 답호가 있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답호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답호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답호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답호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
답호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0~221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