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종국장도감의궤
Encyves Wiki
효종국장도감의궤 (孝宗國葬都監儀軌) |
|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 |
대표명칭 | 효종국장도감의궤 |
---|---|
한자표기 | 孝宗國葬都監儀軌 |
주제 | 흉례 |
작성주체 | 국장도감 |
의례담당자 | 심지원(沈之源)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659년(현종 즉위년) |
소장처(원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적상산성)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2책 515장(1책 293장, 2책 222장): 어람용/2책 471장(제1책 259장, 제2책 212장): 강화부 |
도설 | 37면(채색, 제1책 9면, 제2책 28면), 반차도(26면, 제1책) |
정의
1659년(효종(孝宗 10년) 5월에 승하하여 10월에 장사지낸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의 국장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효종(孝宗)은 1659년 5월 4일 오시(午時)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였다. 5월 8일 사시(巳時) 선정전에 재궁(梓宮)을 옮겼고, 10월 28일에 발인했다. 5월 29일 영릉(寧陵)에서의 하현궁 및 창경궁 문정전으로의 반우한 뒤 봉안하고, 초우제(初虞祭)부터 칠우제(七虞祭) 및 졸곡제(卒哭祭)까지 문정전에서 거행했다. 묘호는 효종(孝宗), 전호는 경모(敬慕), 능호는 영릉(寧陵)이다.
목차
1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분정별단(分定別單), 이문(移文), 품목(稟目), 감결(甘結), 예관(禮關), 일방(一房)
2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분전설사(分典設司), 분장흥고(分長興庫), 지석소(誌石所), 우주소(虞主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 기본정보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기본정보
특징
효종국장도감의궤는 18세기 의궤에 비해 체계가 완비되지 못하였으나, 같은 시기에 편찬된 『효종빈전도감의궤(殯殿都監儀軌)』에 비해서는 비교적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다. 그 결과 17세기 의궤 형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2555), 어람용 하책(255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527)과 의정부본(奎 14866, 하책 결락)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효종국장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한다 | |
효종국장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
효종국장도감의궤 | 상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효종국장도감의궤 | 흉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흉례 | 국장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참고문헌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배게,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배게,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