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민
김시민(金時敏) | |
대표명칭 | 김시민 |
---|---|
한자표기 | 金時敏 |
생몰년 | 1554년(명종 9)-1592년(선조 25) |
본관 | 안동(安東) |
시호 | 충무(忠武) |
호 | 면오(勉吾) |
시대 | 조선 |
유형 | 무신 |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임진왜란 이전
충청도 목천현(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가전리) 출신으로, 25세 되던 1578년(조선 선조 11)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 주부에 임명되었다. 부임한 후 무기가 녹슬고 군인들의 기강이 해이하여 유사시에 제대로 쓸 만한 병기와 군인이 없음을 알게 되었다. 그 후 훈련원의 행정실무를 지위하는 판관이 되었을 때 병조 판서에게 두 번이나 이에 대해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과감하게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1]
1583년(조선 선조 16) 여진 출신 니탕개(尼湯介)가 두만강을 넘어 쳐들어오자 황해도 순찰사 정언신의 지휘하에 신립, 이순신 등과 함께 공을 세워 군기시(軍器寺) 판관에 제수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해인 1591년에는 진주 판관으로 부임하여 진주 목사를 보좌해 행정 실무를 담당하면서 군정 등에 참여하였다.[2]
임진왜란 발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진주목사 이경(李璥)과 함께 지리산으로 피했다가 목사가 병으로 죽자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명에 따라 그 직을 대리하였다. 민심을 안정시키고 피난했던 성민을 귀향하게 하였다. 그리고 방어를 위해 성을 수축하고 무기와 기재를 정비하는 한편, 군사의 항오(行伍)를 편성, 군사 체제를 갖추었다.[3] 이후 진주성을 지키며 사천, 고성, 진해에 주둔하는 왜군을 공격하여 무찔러 그 공이 인정되어 진주 목사로 승진하였다. 1592년 9월에는 진해의 왜장 평소태(平小泰)를 사로잡아 몽진 중인 선조에게 압송한 공로로 10월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兵馬節道使)를 제수받았다.[4]
진주대첩
1592년 10월에 왜군이 대대적으로 진주성을 공격해오자, 3,800여 명의 병력을 지휘하여 탁월한 용병술과 전략전술로 적장 하세가와 히데카즈(長谷川秀一)가 이끄는 2만의 군대를 맞아 대승을 거두었다(제1차 진주성 전투/진주대첩). 10월 5일부터 11일까지 계속된 이 전투에서 마지막 날 적의 대대적인 총공세를 맞아 적의 세력을 진압하였다. 하지만 성 내부를 순찰하던 중 쓰러진 적군이 쏜 탄환을 이마에 맞아 부상을 당해 10월 18일 사망하였다.[5]
사후
1604년(선조 37) 선무(宣武)공신 2등에 올랐다. 1709(숙종 35)에는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으로 추봉되고 영의정이 추증(追贈)되었다. 1607년(선조 40) 진주성(晋州城)에 사당을 짓고 창열사(彰烈祠)의 사액을 내려 김시민을 중심으로 전몰자 제신을 배향(配享)토록 하였다.[6]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시민 | 니탕개의 난 | A는 B과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시민 | 진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최경회 | 진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곽재우 | 진주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시민 | 김성일 | A는 B과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시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시각자료
영상
- 국립진주박물관, 진주대첩
- NATV 국회방송,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YouTube, 작성일: 2015년 02월 23일.
주석
- ↑ 허용기,"김시민",
『디지털천안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허용기,"김시민",
『디지털천안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석희, "김시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시민",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김시민",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김시민",
『doopedia』online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