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규보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4일 (금) 00:2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규보(李奎報)
"이규보",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 이규보
한자표기 李奎報
생몰년 1168년-1241년
본관 여흥(驪興)
이칭 인저(仁氐),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시호 문순(文順)
백운거사(白雲居士), 백운산인(白雲山人)
춘경(春卿)
시대 고려
대표저서 『동명왕편(東明王篇)』,『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이윤수(李允綏)



정의

고려 말의 문신.

내용

이규보(李奎報)는 16세부터 기성문인들인 강좌칠현(江左七賢)과 기맥이 상통해 그 시회(詩會)에 출입하였다.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이듬해 예부시(禮部試)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관직을 받지 못하자, 25세 때 개경의 천마산(天磨山)에 들어가 시문을 짓는 등 세상을 관조하며 지냈다. 백운거사(白雲居士)라는 호는 이 시기에 지은 것이었다.[1] 개경에서 빈궁한 생활에 쪼들리며 벼슬에 나가지 못함을 한탄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사회와 국가의식이 촉발되어 「동명왕편(東明王篇)」과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등을 지었다.[2] 1197년(명종 27) 조영인(趙永仁)·임유(任濡)·최선(崔詵)최충헌(崔忠獻) 정권의 요직자들에게 관직을 구하는 편지를 썼고, 32세가 되어서야 최충헌의 초청시회(招請詩會)에서 그를 국가적인 대공로자로 칭송하는 시를 짓고 관직을 얻게 되었다. 1202년(신종 5) 동경(東京: 현재 경상북도 경주)과 청도 운문산(雲門山) 일대의 농민폭동진압군의 수제원(修製員)으로 자원하여 종군하여, 현지에서 각종 재초제문(齋醮祭文)과 격문(檄文), 그리고 상관에의 건의문 등을 썼다. 1207년(희종 3) 이인로(李仁老)·이공로(李公老)·이윤보(李允甫)·김양경(金良鏡)·김군수(金君綬) 등과 겨루었던 「모정기(茅亭記)」가 최충헌을 만족시켜 직한림(直翰林)에 임명되었다. 최충헌이 죽은 이후에는 최우(崔瑀, 최이(崔怡)로 개명)의 후견을 받았으며, 몽고에 대한 국서(國書) 작성을 전담하였다.[3] 몽고침입으로 고려 조정이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자 함께 따라갔다가 결국 그곳에서 74세의 나이로 죽었다. 는 강화도에 있다.[4]

시풍(詩風)은 호탕 활달하였으며,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가 유명하다.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써 격퇴한 명문장가였다. 시·술·거문고를 즐겨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라 자칭했으며, 만년에 불교에 귀의했다. 저서에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 시(詩)에 「천마산시(天摩山詩)」, 「모중서회(慕中書懷)」, 「고시십팔운(古詩十八韻)」, 「초입한림시(初入翰林詩)」, 「공작(孔雀)」, 「재입옥당시(再入玉堂詩)」, 「초배정언시(初拜正言詩)」, 「동명왕편(東明王篇)」, 문(文)에 「모정기(茅亭記)」, 「대장경각판군신기고문(大藏經刻板君臣祈告文)」 등이 있다.[5]

비문의 찬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비문으로는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화장사정각국사비(華藏寺靜覺國寺碑) 등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규보 표준영정 이규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이규보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화장사정각국사비 이규보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이규보 몽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규보 최충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규보 최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규보 대관재몽유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제능가야산원효방병서 이규보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백운소설 이규보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국선생전 이규보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최자 이규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몽여 이규보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규보 대관재몽유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신품사현 이규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박창희, "이규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이규보",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박창희, "이규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명호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이규보",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이규보",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이규보",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박창희, "이규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이규보",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명호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이규보",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규보",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