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선도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3일 (월) 22:44 판 (지식 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윤선도(尹善道)
대표명칭 윤선도
한자표기 尹善道
생몰년 1587-1671
본관 해남(海南)
산(孤山), 해옹(海翁)
약이(約而)
출생지 한성 동부의 연화방(蓮花坊)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대표저서 고산유고
대표직함 동부승지
윤유심(尹唯深)



정의

고산 윤선도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대표 저서는 『고산유고』이다.

생애

  • 출생 및 가족관계

고산 윤선도는 1587년(선조 20) 한성 동부의 연화방(蓮花坊 지금의 종로구 연지동)에서 태어나 8세에 관찰공 유기(惟幾)의 양자가 되어 해남 윤씨의 종손으로 입적되었다. 윤선도는 윤돈의 딸 남원 윤씨와 결혼하여 윤인미를 낳았는데, 윤인미의 아들 윤이석의 양자가 바로 윤두서이다.[1]

  • 강직한 성품

윤선도는 그가 남긴 가훈에서도 알 수 있듯 선을 쌓고 공정한 태도를중요시 여겼는데 이는 그의 관직활동에서도 잘 드러난다. 윤선도는 30세인 1616년, 당시 전횡을 일삼던 권신 이이첨을 탄핵하는 병진소를 올렸고 1694년에는 논원두표소를 올려 효종이 구상한 정국의 주요 인물이었던 원두표를 탄핵하기도 했다. 이는 그의 강직한 성품을 잘 드러내는 일면이기는 하지만 윤선도가 관직생활 중 끊임없이 유배와 복위를 반복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병진소에서 김제남 역모 사건을 언급하여 서인들을 정적으로 돌려 이후 유배와 복위를 반복하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했다.[2]

관직활동

해남 윤씨는 호남에서 몇 안되는 동인(東人) 가문이었는데 당시 정개청(鄭介淸) 옥사로 인해 그의 조부인 윤의중(尹毅中)이 휘말리게 되었고 이후 동인이 남인과 서인으로 갈라지게 되었다.[3] 1658년 윤선도는 국시소를 올려 정개청(鄭介淸)의 신원을 청하였고 이 일로 남구만이 윤선도에게 탄핵을 건의했으며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의 노론과 대립하게 되었다.

  • 예송논쟁

1659년에 효종이 승하하자 이듬해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제 문제로 남인의 삼년설과 서인의 기년설(朞年說)이 치열하게 대립하였다. 고산은 남인으로서 삼년설을 주장하는 장문의 소를 올려 기년설을 주장한 송시열(宋時烈을 배척한다. 이 때 박세채 가 「복제사의」를 지어 윤선도와 윤후 등의 3년복설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 논쟁에서 패한 그는 함경도 삼수(三水)에 위리안치되었다가 이후 광양(光陽)으로 이배되는 등 약 8년간의 유배 생활을 겪는다[4]

저술 활동

윤선도는 보길도에서 생활하면서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다. 이 때 지어진 대표적인 작품이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이다. 「어부사시사」는 40수의 단가로, 작자와 창작연대를 알수 없는 고려후기 「어부가」를 재창작한 작품이다. 문집으로는 『 고산선생유고(孤山先生遺稿)』가 있다. 이 책은 서유린 정조의 명을 받고 간행한 것으로, 한시문이 실려 있고, 별집에는 한시문과 시조(35편), 「어부사시사」가 실려 있다. . 윤선도는 강호문학의 대가로 정철, 박인로와 함께 조선시대 3대 가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5]

해남에서의 은거생활

윤선도는 호란이 발발한 후 가솔들을 이끌고 강화도로 올라가다가 인조가 삼전도에서 항복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제주도로 배를 돌린다. 이 떄 제주도로 향하던 도중 잠시 들렸던 보길도에 매료되어 보길도로의 입향 및 은거를 결심하게 되었고, 이는 그의 삶의 전환정이 되었다. [6] 1667년(현종8) 8월 해남으로 돌아온 윤선도는 해남으로 내려오면서 수원의 집 일부를 뜯어 옮겨왔다. 이 집은 효종이 즉위 후 사부였던 윤선도를 위해 지어준 집으로 현재 녹우당 사랑채이다. 지금은 해남윤씨 종가 전체를 통틀어 녹우당이라고 부르지만 원래는 그 사랑채 이름이 녹우당이었다. 녹우당 근처에는 낙서재를 지어 그곳에 머물며 창작 활동에 전념하였다. [7] 인근의 진도 굴포당에는 윤선도가 직접 심은 소나무가 현재까지 보관되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산유고 윤선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윤선도 윤인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윤인미 배지 윤인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윤선도 송시열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윤선도 예송논쟁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송시열 예송논쟁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남구만 윤선도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세채 윤선도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강호문학 윤선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강호무학 이현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낙서재 윤선도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해남윤씨 녹우당 윤선도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낙서재 해남윤씨 녹우당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윤선도 윤두서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윤선도 표준영정 윤선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진도 굴포당 윤선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16년 병진소를 지어 이이첨을 탄핵하였다
1628년 봉림대군, 인평대군의 사부가 되었다
1638년 보길도로의 입향을 결심하였다.
1649년 논원두표소를 지어 원두표를 탄핵하였다
1659년 예송논쟁으로 송시열과 대립하였다
1667년 관직에서 물러나 해남으로 돌아왔다
1671년 85세로 별세하였다

주석

  1. 전상욱"윤선도",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박종우, 『고산유고(孤山遺稿)』, "헤제", 『한국문집총간』online, 한국고전번역원.
  3. 박종우, 『고산유고(孤山遺稿)』, "헤제", 『한국문집총간』online, 한국고전번역원.
  4. 박종우, 『고산유고(孤山遺稿)』, "헤제", 『한국문집총간』online, 한국고전번역원.
  5. 전상욱"윤선도",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박종우, 『고산유고(孤山遺稿)』, "헤제", 『한국문집총간』online, 한국고전번역원.
  7. "해남 윤씨 윤선도 묘와 고택 녹우당",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고미숙, 「미리 보는 <한겨레 고전 인물 평전 100> : 윤선도 평전; 고산 윤선도_정치와 미학은 어떻게 조우하는가?」, 『연보와 평전』 vol.2, 부산대학교 점필자연구소, 2009
    • 문영오, 「고산 윤선도의 한시 연구」, 『한국문학연구』vol.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82
  • 단행본
    • 고미숙, 』윤선도 평전 : 정쟁의 격랑 속에서 강호미학을 꽃피운 조선의 풍류객』, 한겨례, 2013
    • 정명래, 『어부사시사 : 낚시꾼이 풀어쓴 孤山 尹善道』, 샘물,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