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화대

Encyves Wiki
장원석DH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일 (목) 01:10 판 (참고문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육화대
(六花隊)
장사훈, "육화대(六花隊)",『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육화대
한자표기 六花隊
관련개념 당악정재(唐樂呈才)


정의

조선 초기의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1]

내용

≪고려사≫악지에는 보이지 않고, ≪악학궤범≫≪정재무도홀기≫에 그 춤의 절차가 전한다. 따라서 성종조 이전에 창제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뒤 400여 년 동안 보이지 않다가 1901년 7월의 진연(進宴)에서 재연되었다. 당악정재이므로 의장대와 죽간자(竹竿子)를 갖추고 있다. 춤은 치어인(致語人), 즉 화심(花心)인 중심무 1명과 죽간자 2명, 육화(六花)를 상징하는 무원 6명 등 모두 9명으로 구성된다.[2]

악학궤범과의 차이

≪악학궤범≫에 따르면 동쪽에는 홍의(紅衣) 3명, 서쪽에는 남의(藍衣) 3명으로 갈라서 각각 <일념시 一念詩>·<이념시 二念詩>·<삼념시 三念詩>를 번갈아가며 차례로 부른다. 그런데 ≪정재무도홀기≫에 의하면, 동서 6명의 옷 빛깔이 각각 다르다. 즉, 동쪽 3명은 옥색의·자적의(紫赤衣)·양람의(洋藍衣)이고, 서쪽 3명은 초록의·진홍의·분홍의의 순으로 여섯 가지 꽃의 빛깔을 상징한다. 또, <일념시>에서 <삼념시>까지의 노래는 ≪악학궤범≫에서 칠언율시를 불렀는데, ≪정재무도홀기≫에서는 원래대로 칠언율시를 부른 다음 번역시를 또 한번 부른다. ≪정재무도홀기≫에는 <보허자령 步虛子令>(향악화된 곡)·<향당교주 鄕唐交奏> 및 가곡 중의 <농락>·<계락>·<편> 등으로 바뀌었다. 중국의 당나라와 송나라 이후부터 화무라는 것이 있었는데, <육화대>는 <곡파 曲破>와 함께 일시 단절되었다가 세종 이후부터 재편성되어 ≪악학궤범≫에 그 무보(舞譜)가 실리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1981년 국립극장에서 국립국악원 주최로 재연된 바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당악정재 육화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악학궤범 육화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재무도홀기 육화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육화대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장사훈, "육화대(六花隊)",『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장사훈, "육화대(六花隊)",『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장사훈, "육화대(六花隊)",『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고려사(高麗史)』
    • 『악학궤범(樂學軌範)』
    •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 저서
    • 장사훈,『한국무용개론』, 대광문화사, 1984.
    • 장사훈,『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 차주환,『당악(唐樂)연구』, 범학도서, 1976.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미영,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사상적 체계를 통한 <육화대(六花隊)> 춤절차의 의미」,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59 No.- , 2009, 1-19쪽.
    • 이희병, 「『 국역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전기 궁중 무용사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