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3일 (월) 15:1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어진
(御眞)
대표명칭 어진
한자표기 御眞



정의

왕의 초상화.

내용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어진 외에도 진용(眞容)·진(眞)·진영(眞影)·수용(晬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등 다양하다.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李頤命)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추사(追寫)·모사(模寫)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도사란 군왕이 생존해 있을 때 그 수용을 바라보면서 그리는 경우에 일컫는 말이다. 추사란 왕의 생존 시에 그리지 못하고 승하한 뒤에 그 수용을 그리는 경우로서 흡사하게 그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 한다. 조선시대의 몇몇 군왕이나 왕세자의 초상화는 이 방식으로 그려졌다. 그리고 전설상의 시조의 수용 역시 한결같이 이 추사 방식에 의거하였다. 모사란 이미 그려진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혹은 새로운 진전에 봉안하게 될 경우에 기존본을 범본(範本)으로 하여 신본을 그릴 때에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추사를 제외한 도사 및 모사가 위와 같이 구별되어 사용된 것은 역시 1713년에 이르러서이다. 그 이전에는 이 두 가지가 단순히 화(畫)나 모사(摹寫)라는 용어로 함께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어진 제작 과정이나 진전 봉안 체제에 관한 세부적인 사실 기록은 다 전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작품으로는 전주 경기전(慶基殿)의 태조어진, 서울 창덕궁의 영조어진·철종어진·익종어진 그리고 영조의 연잉군(延礽君) 때의 도사본만이 현존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박찬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박문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이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조문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박필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김중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이만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조현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이수량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이익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김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이보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권희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박동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64110 127.1630570 박문수 공신도상천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6.1923720 127.1813760 이삼 공신도상백제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