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
장보고(張保皐) | |
대표명칭 | 장보고 |
---|---|
한자표기 | 張保皐 |
생몰년 | 미상-846년 |
이칭 | 궁복(弓福), 궁파(弓巴) |
시대 | 남북국 |
국적 | 신라 |
대표직함 | 청해진대사 |
성격 | 상인,무장 |
목차
정의
신라 후기의 지방세력가이자 대상인.[1]
내용
당에서 활약
본명은 궁복(弓福) 또는 궁파(弓巴)로, '활보', 즉 '활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2] 일본 헤이안 시대 활동한 승려인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등 일본의 문헌에는 이름의 한자 표기가 '張寳高' 혹은 '長寶高'로 되어 있다.[3]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났고 물에 익숙하였는데, 청년기에 친구인 정년(鄭年)과 함께 일찍이 당나라 서주(徐州)로 건너가 당의 지방군인 무령군(武寧軍) 소장(小將)을 지냈[4]는데, 『삼국사기』에 따르면, 말을 타고 창을 사용하는데 대적할 자가 없었다고 한다.
두 사람 모두 싸움을 잘하였는데, 정년은 또 바다 속에서 잠수하여 50리를 다녀도 숨이 막히지 않았다. 그 용맹과 씩씩함을 비교하면, 장보고가 정년에게 조금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정년이 장보고를 형으로 불렀다. 장보고는 나이로, 정년은 기예로 항상 서로 맞지 않아 서로 아래에 들지 않으려 하였다. | ||
출처: 『삼국사기』 권 제44, 별전 제4,「장보고(張保皐)·정년(鄭年)」.[5] |
이 시기에 장보고는 그러한 지방군벌의 속성과 그들의 군대양성 방법을 익혔던 것으로 보인다. 당과 신라 중앙 정부의 집권력이 느슨해진 틈을 타 도적이 횡행하였고, 바다에서도 당나라 해적이 신라 해안에 출몰해 노략질을 하고 주민들을 잡아가서 중국에 노예로 팔았으며 무역선도 해적의 위협을 받는데, 장보고는 해적들이 신라인을 잡아가는 것에 대해 분노했고, 스스로 해상권을 통괄해 독자적인 세력을 키워볼 야망을 불태웠다.[6]
법화원 건립
장보고는 823년 중국 산동성 문등현(文登縣) 적산촌(赤山村)에 적산 법화원(法華院)을 건립하고 이를 지원하였다. 적산 법화원은 상주하는 승려가 30여 명이 되며, 연간 500석을 추수하는 장전(莊田)을 가지고 있었다. 이 지역 신라인의 정신적인 중심지로서 법회 때에는 한꺼번에 250여 명이 참석했던 적도 있었다. 장보고의 세력이 중국 동해안의 신라인 사회에도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7]
청해진 설치
828년 당에서 돌아온 그는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에게 남해의 해상교통의 요지인 완도에 해군기지를 건설해 황해의 무역로를 보호하고 해적을 근절시킬 것을 주청하였고, 1만 명의 병사로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였다. 청해진을 건설한 뒤, 곧 해적을 소탕해 동중국해 일대의 해상권을 장악했는데, 이 해상권을 토대로 당·신라·일본을 잇는 국제무역을 주도하였다.[8]
장보고는 무역 활동과 함께 외교 교섭까지 시도하였다. 840년(문성왕 2)에 무역선과 함께 회역사(廻易使)를 파견해 일본 조정에 서신과 공물을 보냈고, 당나라에는 견당매물사(遣唐賣物使)의 인솔하에 교관선(交關船)을 보내어 교역을 활발히 하였다. 회역사와 견당매물사의 칭호가 붙은 교역사절을 파견했다는 사실은 그가 일반 무역상인과는 달리 독자적인 세력집단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한편 일본의 지방관과 승려 엔닌이 장보고에게 서신을 보내어 그의 귀국을 보살펴줄 것을 탄원했다는 것은 일본·신라·당을 잇는 당대의 해상교통로에서 그의 위세가 국제적으로 인정되었음을 보여준다.[9]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 장보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장보고 표준영정 | 장보고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장보고 | 정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정년 | 신라 신무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청해진 | 장보고 | A는 B가 설치하였다 | A ekc:founder B |
장보고 | 견당매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장보고 | 회역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적산 법화원 | 장보고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엔닌 | 장보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엔닌 | 적산 법화원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입당구법순례행기 | 엔닌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입당구법순례행기 | 적산 법화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입당구법순례행기 | 장보고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23년 | 장보고가 적산 법화원을 설립하였다 |
828년 |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
840년 | 장보고가 일본에 회역사를 파견하였다 |
840년 | 장보고가 당나라에 견당매물사를 파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91465 | 122.3514283 | 장보고가 적산 법화원을 중국 산둥성에 설립하였다 |
34.358586 | 126.735035 | 장보고가 청해진을 전라남도 완도군 장도에 설치하였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완도 장보고 기념관 1층 전시실[10]
완도 장보고 기념관 청해진 디오라마[11]
완도 장보고 기념관 청해진 디오라마[12]
완도 장보고 기념관 장보고 초상화[13]
완도 장보고 기념관 장보고 일대기 안내판[14]
장도 청해진 유적 전경[15]
청해진 유적에 위치한 장보고 사당[16]
영상
- [목포MBC]특집다큐 - 장보고 루트(게시일: 2016년 7월 7일)
주석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보고",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년시절", 『삼국사기』 권 제44, 별전 제4, 「장보고(張保皐)·정년(鄭年)」,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