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5일 (화) 20:38 판 (최한샘 (토론)의 61694판 편집을 되돌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BHST Myeongbongsa Jajeok stele.jpg
대표명칭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Master Jajeok at Gyeongcheongseonwon of Myeongbongsa Temple, Yecheon
한자 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길 62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648호
문화재 지정일 2010년 2월 24일
찬자 최언위(崔彦撝)
서자 미상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홍준(弘俊)
건립연대 941년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鳴鳳寺)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자적선사 홍준(慈寂禪師 弘俊, 882-939)탑비.

내용

개요

이 탑비는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자적선사(慈寂禪師)의 행적을 기록한 것으로, 고려 태조의 명으로 941년(태조 24)에 세워졌다.[1]

귀부(龜趺: 거북 모양 받침돌), 비좌(碑座: 비신을 세우는 받침돌), 비신(碑身: 비석의 몸체), 이수(螭首: 용 모양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높이는 282cm이고, 비신의 크기는 높이 186cm, 너비 96cm, 두께 20.5cm이다.[2]

화강암으로 된 비신은 마모가 심해 육안으로는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며 판독되지 않는 글자도 적지 않다.[3] 이 탑비보다 2년 전에 세워진 경기도 양평 보리사의 대경대사탑비(大鏡大師塔碑)의 찬자인 최언위(崔彦撝)의 관직과 관계(官階) 및 글자 수까지 일치되므로 이 비의 찬자도 최언위로 추정된다.[4] 비문의 글씨는 중국 당나라 서예가 구양순(歐陽詢, 557-641)의 필적을 고서(古書)에서 집자(集字: 문헌에서 필요한 글자를 찾아 모음)한 것이다.[5]

2010년 보물 제1648호로 지정되었다.[6]

비문

비문에는 출가에서 입적에 이르기까지 자적선사(慈寂禪師)의 행적이 30행(1행 59자)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7]

음기(陰記: 비석 뒷면의 글)에는 939년 고려의 관청 도평성(都評省)자적선사의 제자들에게 사원 건립과 관련된 왕의 명을 전달한 첩문(帖文: 행정문서/ 공문서)이 새겨져 있다. 이 첩문은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까지 사용되었던 이두문자(吏讀文字: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로 작성되어 있는데, 신라시대의 이두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성과 발전된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음기 뒷부분에는 태조 왕건, 국통(國統: 신라·고려시대 최고의 승려 관직), 삼강직(三綱職: 사원의 관리·운영 임무를 맡는 세 가지 승직(僧職))을 비롯하여 지역 유력자들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어 고려 초기 호족 세력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8]

비문 보러가기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1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홍준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명봉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고려 태조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이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구양순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심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최언위 A는 B가 제액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심희 홍준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최연식, 「경청선원 자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4. 김응현, "예천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7.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