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용인 서봉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30번째 줄: 30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와 종린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0/S016/temple_seobo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6/stele_jongrin_sebo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2017년 11월 21일 (화) 09:49 판

용인 서봉사지
(龍仁 瑞峰寺址)
대표명칭 용인 서봉사지
한자 龍仁 瑞峰寺址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산21
경내문화재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정의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신봉리에 있는 절터.

내용

서봉사(瑞峰寺)의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국사 현오(玄梧)가 이곳에 주석하면서 국왕을 강학(講學)하였다는 일설이 전해지고 있으며, 절에 대한 역사는 거의 전래되지 않고 있다.[1] 관련 기록으로 보아 18세기 후반까지 운영되었고, 19세기경에 폐사(廢寺)된 것으로 추정된다. [2]

이곳이 서봉사임을 알게 된 것은 현오국사탑비의 비각을 건립하는 공사 중 명문와편(銘文瓦片)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사지(寺址)의 크기로 보아 굉장한 규모의 사찰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절은 서북을 등진 동남향으로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상·중·하의 계단식으로 나누어져 있다. 맨 위쪽의 절터가 법당자리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춧돌과 탑재 등도 흩어져 있다.[3]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와 종린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용인 서봉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종린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종린 용인 서봉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용인 서봉사지 용인 서봉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김위석, "서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용인 서봉사지", 『두산백과』online.
  3. 김위석, "서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서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봉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용인 서봉사지",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