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 | |||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
− |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 + |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
− | * 신순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 + | * 신순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
68번째 줄: | 67번째 줄: | ||
* 임민혁,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 임민혁,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
* 조미나,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 조미나,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
−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 +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11월 19일 (일) 12:26 기준 최신판
내의 (內衣) |
|
대표명칭 | 내의 |
---|---|
한자표기 | 內衣 |
구분 | 의복 |
착용신분 | 왕비, 왕세자빈 |
착용성별 | 여성 |
정의
조선시대 왕비나 왕세자빈이 국가의 큰 제례나 혼례, 책례 등에 참석할 때 대례복인 적의와 함께 착용하였다.[1]
내용
전해 내려오는 유물이 없어 자세한 형태는 알 수 없다.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를 통해 내의의 형태를 유추해 보면 왕비와 왕세자빈 모두 '대홍색의 내의'가 기록되어 있다. 적의나 별의(別衣)는 겉감 소요량이 35척 5촌, 안감 5척 5천의 홑옷인데 내의는 겉감 14척, 안감 21척이 사용된 겹옷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적의나 별의에 비해 옷감 소요량이 적은 것으로 보아 하의인 전행웃치마에 대응하는 속 받침옷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비 | 내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빈 | 내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손빈 | 내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비의 대례복 | 내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왕세자빈의 대례복 | 내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내의 | 전행웃치마 | 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4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4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신순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주미,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임민혁,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조미나,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