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유점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 |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 | ||
−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중 [[금강산]]과 금성 지역 지도에는, | +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중 [[금강산]]과 금성 지역 지도에는, 유점사가 위치했던 지역이 자세히 묘사돼 있다.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right">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right">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범종.jpg|고성 유점사 종<ref>이동명,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697302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고성 유점사_유점사범종.jpg|고성 유점사 종<ref>이동명,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697302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ref> |
2017년 11월 14일 (화) 20:17 판
고성 유점사 (高城 楡岾寺) |
|
대표명칭 | 고성 유점사 |
---|---|
한자표기 | 高城 楡岾寺 |
이칭 | 유점사, 금강산 유점사 |
유형 | 유적 |
시대 | 고대/삼국 |
관련인물 | 유정 |
관련장소 | 금강산 |
목차
정의
강원도 고성군 서면 백천교리 금강산(金剛山) 효운동 계곡에 있었던 절이다.
내용
유점사 전경[1]
고성 유점사는 고성 신계사, 고성 장안사, 고성 정양사 등 금강산 4대 사찰 중에서도 가장 크고 웅장한 사찰이었으며, 금강산의 모든 사찰을 관장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60여 개의 말사를 거느린 전국 31본산 중의 하나였다. 경내에 느릅나무[楡]가 많아 '유점사(楡岾寺)'가 되었다고 한다.
유점사 법당들은 우리나라 중세 건물 중에서 가장 높고 화려한 건물로 꼽혔다. 53불을 안치한 능인전(能仁殿), 수월당, 연화사, 제일선원, 반룡당(盤龍堂), 의화당(義化堂), 서래각(西來閣) 등 6전 3당 3루가 있었다.
창건설화
창건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신라 초기 신라 남해왕 때 창건한 절이라고 전해진다.
고려 때 오십삼불(五十三佛) 창건설화가 전해 내려오는데[2], 고려 중기의 문신 민영모의 5세손인 민지가 쓴 「금강산유점사사적기」에 따르면, 석가모니가 입적한 뒤 인도 사위성(舍衛城)의 사람들이 부처님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서 금을 모아 53구의 불상을 조성한 뒤 이를 배에 태워 바다에 띄우면서 유연국토(有緣國土)에 갈 것을 발원하였다.
신룡(神龍)이 배를 이끌고 항해하다가 월지국(月支國)에 닿았다. 왕이 이 불상들을 공경하여 전당을 짓고 봉안하였으나 원인 모를 불이 나서 전각이 타버렸다. 왕이 다시 전당을 짓고자 하였으나 꿈에 부처님이 나타나서 "이곳을 떠날 것이니 수고하지 말라." 하고 만류하므로 이 53불을 다시 배에 태워 바다에 띄웠다.
이 배는 900년 동안 여러 나라를 떠다니다가 신라의 안창현(安昌縣) 포구에 닿았다. 현관(縣官) 노춘(盧椿)이 나가 보니 불상들은 없고 바닷가의 나뭇잎이 모두 금강산을 향하여 뻗어 있었다. 이에 발길을 그쪽으로 돌렸는데, 흰 개가 나타나서 앞장을 서서 따라갔더니 큰 느티나무가 서 있는 못가에 53불이 있었다. 왕이 이 사실을 듣고 찾아가서 그 땅에 절을 짓고 이름을 유점사라 하였다. [3]
중건
이후 유점사는 여러 차례 중건하였는데, 1168년(고려 의종 22)에는 자순(資順)과 혜쌍(慧雙)이 왕실의 시주로 당우 500여 칸을 중건하였고, 1213년(고려 강종 2)에는 강종이 백은 1,000냥을 대선사 익장(益藏)에게 보내어 중수하도록 하였다. 1284년(고려 충렬왕 10)에는 행전(行田)이 시주를 얻어서 공사에 착수하여 1295년에 완료하였다.
1408년(조선 태종 8)에는 효령대군이 조선 태종에게 아뢰어 백금 2만 냥을 얻어서 건물 3,000칸을 중건하였다. 1453년(조선 단종 1)에는 신의(信義)·성료(性了) 등이 중건하였으며, 1595년 (조선 선조 28) 승려 유정(惟政)이 인목대비가 하사한 내탕금(內帑金)으로 재건하였다.
1636년(조선 인조 14) 화재로 소실된 뒤 곧 다시 지었고, 1703년(조선 숙종 29)에는 백금 2,000냥으로 중창하였으며, 1759년(조선 영조 35) 다시 불에 타자 승병대장 보감(寶鑑)이 와서 10년의 공사 끝에 중건하였다.[4]
중요 문화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오른쪽 상단부에 빨강색 네모)[5]
중요 문화재로는 혜근이 스승인 지공에게서 받은 『보살계첩(菩薩戒牒)』과 「보문품(普門品)」이 있다. 이 계문의 말미에 있는 '지공'이라는 수결과 산스크리트 게송(偈頌) 등은 모두 지공의 친필이어서 귀중한 가치가 있다. 인목왕후가 친필로 쓴 은자 「보문품」은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을 필사한 것이다. 왕후가 서궁(西宮)에 유폐당하고 영창대군이 참변을 당하였을 때 슬하에 남은 외동딸을 위해서 불보살의 보호를 받으려는 간곡한 정성으로 썼다고 한다.[6]
또한, 유점사에는 창건설화를 간직한 53불상, 패엽경, 신라 남해왕이 하사했다고 전해지는 향로와 비취옥배, 혜근의 가사 장삼 등 수많은 보물들이 있었다.[7]
임진왜란
조선조 왜구가 금강산을 쳐들어 왔을 때 유정이 유점사에서 왜장을 만나 글로 회유를 하자 그의 법력에 위기를 느낀 왜구들이 다시는 금강산 경내에 침범하지 않겠다고 한 일화가 유명하다.[8]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중 금강산과 금성 지역 지도에는, 유점사가 위치했던 지역이 자세히 묘사돼 있다.
고성 유점사 종[9]
현재의 고성 유점사
1951년 한국전쟁 중 시기 폭격으로 사찰과 국보급 문화재가 불에 타서 완전히 파괴되었다. 지금은 그 터와 기암당비, 유점사기적비, 유점사 명진당부도, 유점사 돌다리 등이 옛 모습대로 남아 있다.
원산역사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유점사53존불의 하나인 금동불상은 비록 댓돌이 떨어져 없어졌으나 비교적 조화로운 체구의 균형과 정교한 조각술을 보여주고 있다. 머리는 일반불상처럼 도토리깎지처럼 생긴 것(나발)이 아니라 삼국시대에 흔히 볼 수 있는 둥글납작하게 다듬어진 머리카락이 3층(3중육계)으로 처리되었다. 코, 입술, 눈 등 얼굴의 표정도 비교적 선명하게 표현되었다. 오른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왼손을 앞으로 꺾은 자세가 자연스럽고 쭉 늘어진 옷자락도 부드럽게 새겨졌다.[10] 또 고성 유점사 종은 조선시기 종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어 조선 후기 범종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 지금은 고성 보현사로 옮겨와 종각을 새로 지어 보호하고 있다.[1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성 유점사 | 금강산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고성 유점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영규 | 고성 유점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성 유점사 종 | 고성 유점사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고성 유점사 종 | 고성 보현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금강산유점사사적기 | 고성 유점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금강산유점사사적기 | 민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대동여지도 | 고성 유점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고성 유점사 | 자순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고성 유점사 | 혜쌍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고성 유점사 | 조선 효령대군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고성 유점사 | 신의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고성 유점사 | 성료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고성 유점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고성 유점사 | 보감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찬영 | 고성 유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승형 | 고성 유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응상 | 고성 유점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168년 | 자순이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168년 | 혜쌍이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208년 | 승형이 고성 유점사에서 수행하였다 |
1408년 | 조선 효령대군이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453년 | 신의가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453년 | 성료가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595년 | 유정이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759년 | 보감이 고성 유점사를 중건하였다 |
1871년 | 민지가 금강산유점사사적기를 저술하였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능인보전과 구층석탑[12]
1912년 무렵 유점사 승탑들[13]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오른쪽 상단부에 빨강색 네모)[14]
유점사 전경[15]
유점사 구층석탑[16]
능인보전 전경[17]
능인보전 천장[18]
고성 유점사 종[19]
영상
주석
- ↑ "유점사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시사상식사전』online , pmg 지식엔진연구소. 온라인 참조: "유점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석가모니가 입적한 뒤...유점사라 하였다."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승동,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되살아나다", 『한겨레』, 작성일: 2017년 6월 22일.
-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점사",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유점사",
『시사상식사전』online , pmg 지식엔진연구소. 온라인 참조: "유점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동명,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
- ↑ "지금은...새겨졌다." : "유점사터",
『조선향토대백과』online , 평화문제연구소. 온라인 참조: "유점사터", 조선향토대백과,『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유점사 종",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점사",
『위키백과』online . - ↑ 한승동,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되살아나다", 『한겨레』, 작성일: 2017년 6월 22일.
- ↑ "유점사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구층석탑",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능인보전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능인보전 천장과 내부 가구",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이동명,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유점사 창건 설화",
『문화원형백과』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유점사 창건 설화", 문화원형백과,『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강원도 고성 85건",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더 읽을거리
- 김민구, 「민지와 유점사 오십삼불의 성립 (閔漬와 楡岾寺 五十三佛의 成立)」, 『불교학보』, 제55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551-58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