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어진]]||[[조선 태조 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영조 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철종 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익종 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연잉군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순종 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세조 초상(초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고종 어진(곤룡포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고종 어진(조복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진]]||[[고종 초상(전신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조선 태조 어진]]은 [[전주 어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영조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철종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악종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연잉군 초상]]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순조 어진]]은 [[전주 어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세조 초상(초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5.966259 || 126.956675 || [[고종 어진(곤룡포본)]]은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37.5765660 || 126.9748840 || [[고종 어진(조복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431206 || 127.020427 || [[고종 초상(전신상)]]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2017년 11월 13일 (월) 15:39 판
어진 (御眞) |
|
대표명칭 | 어진 |
---|---|
한자표기 | 御眞 |
정의
왕의 초상화.
내용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어진 외에도 진용(眞容)·진(眞)·진영(眞影)·수용(晬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등 다양하다.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李頤命)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추사(追寫)·모사(模寫)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도사란 군왕이 생존해 있을 때 그 수용을 바라보면서 그리는 경우에 일컫는 말이다. 추사란 왕의 생존 시에 그리지 못하고 승하한 뒤에 그 수용을 그리는 경우로서 흡사하게 그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 한다. 조선시대의 몇몇 군왕이나 왕세자의 초상화는 이 방식으로 그려졌다. 그리고 전설상의 시조의 수용 역시 한결같이 이 추사 방식에 의거하였다. 모사란 이미 그려진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혹은 새로운 진전에 봉안하게 될 경우에 기존본을 범본(範本)으로 하여 신본을 그릴 때에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추사를 제외한 도사 및 모사가 위와 같이 구별되어 사용된 것은 역시 1713년에 이르러서이다. 그 이전에는 이 두 가지가 단순히 화(畫)나 모사(摹寫)라는 용어로 함께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어진 제작 과정이나 진전 봉안 체제에 관한 세부적인 사실 기록은 다 전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작품으로는 전주 경기전(慶基殿)의 태조어진, 서울 창덕궁의 영조어진·철종어진·익종어진 그리고 영조의 연잉군(延礽君) 때의 도사본만이 현존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어진 | 조선 태조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영조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철종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익종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연잉군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순종 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세조 초상(초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고종 어진(곤룡포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고종 어진(조복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진 | 고종 초상(전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65660 | 126.9748840 | 조선 태조 어진은 전주 어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영조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철종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악종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연잉군 초상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순조 어진은 전주 어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세조 초상(초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5.966259 | 126.956675 | 고종 어진(곤룡포본)은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고종 어진(조복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431206 | 127.020427 | 고종 초상(전신상)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영상
- EBSculture(EBS 교양),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왕의 초상, 어진_#001", YouTube, 게시일: 2014년 04월 16일.
주석
인용 및 참조
-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