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범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9세기 전반 경에 활동한 신라의 [[화엄종|화엄종(華嚴宗)]] 승려이다. [[의상|의상(義相)]] 계열로서 [[법융|법융(法融)]]에게서 배웠으며, 제자로 윤현(潤玄)이 있다. [[균여|균여(均如)]]가 주석을 단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이 범체의 저술로 추정된다.<ref>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d/gskr_010_0010_0110_0020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f>
+
9세기 전반 경에 활동한 신라의 [[화엄종|화엄종(華嚴宗)]] 승려다. [[의상|의상(義相)]] 계열로, [[법융|법융(法融)]]에게 배웠으며 제자로 [[윤현|윤현(潤玄)]]이 있다. [[균여|균여(均如)]]가 주석을 단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가 범체의 저술로 추정된다.<ref>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d/gskr_010_0010_0110_0020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f>
  
신라 말의 승려인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824-882)은 [[영주 부석사|부석사(浮石寺)]]에 출가하여 범체에게 화엄학을 배웠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375&cid=50763&categoryId=50784 도헌]",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신라 승려인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824-882)은 [[영주 부석사|부석사(浮石寺)]]에 출가하여 범체에게 화엄학을 배웠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375&cid=50763&categoryId=50784 도헌]",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blockquote
 
{{blockquote
 
|처음 크게 이를 적에 梵體大德에게서 몽매함을 깨우쳤고, 瓊儀律師에게서 구족계를 받았으며, 마침내 높이 도달할 적엔 慧隱嚴君에게서 玄理를 탐구하였고, 楊孚令子에게 默契를 주었다.
 
|처음 크게 이를 적에 梵體大德에게서 몽매함을 깨우쳤고, 瓊儀律師에게서 구족계를 받았으며, 마침내 높이 도달할 적엔 慧隱嚴君에게서 玄理를 탐구하였고, 楊孚令子에게 默契를 주었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려]]
 
[[분류:승려]]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6일 (월) 00:14 판

범체(梵體)
BHST Monk1.png
대표명칭 범체
한자 梵體
이칭 범체대덕(梵體大德)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9세기 전반 경에 활동한 신라의 화엄종(華嚴宗) 승려다. 의상(義相) 계열로, 법융(法融)에게 배웠으며 제자로 윤현(潤玄)이 있다. 균여(均如)가 주석을 단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가 범체의 저술로 추정된다.[1]

신라 말 승려인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824-882)은 부석사(浮石寺)에 출가하여 범체에게 화엄학을 배웠다.[2]

Quote-left.png 처음 크게 이를 적에 梵體大德에게서 몽매함을 깨우쳤고, 瓊儀律師에게서 구족계를 받았으며, 마침내 높이 도달할 적엔 慧隱嚴君에게서 玄理를 탐구하였고, 楊孚令子에게 默契를 주었다. Quote-right.png
출처: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해석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상 범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법융 범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범체 도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각주

  1.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도헌",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