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시각자료 제작 현황 및 계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완료)
(일러스트(JPG))
13번째 줄: 13번째 줄:
 
*신규자료제작 '''<span style="color: red;">70</span>'''EA  
 
*신규자료제작 '''<span style="color: red;">70</span>'''EA  
 
*제작맥락 : 1차년도 사업에서 제작되지 않은 노드를 중심으로 선정
 
*제작맥락 : 1차년도 사업에서 제작되지 않은 노드를 중심으로 선정
===신규===
 
# 5천원권 : 기존 화폐 사진 "인물면" 을 이미지화
 
# 5만원권 : 기존 화폐 사진 "인물면" 을 이미지화
 
# 천원권 : 기존 화폐 사진 "인물면" 을 이미지화
 
# 만원권 : 기존 화폐 사진 "인물면" 을 이미지화
 
# 100원권 : 기존 화폐 사진 "인물면" 을 이미지화
 
# 기와집 + 종택 : '''사진'''을 이미지화 [[파일:한글팀_의성김씨_학봉종택_01_마당.jpg|150px]]
 
# 환국 : 관복입은 한 인물은 앉아서 눈물 흘리고, 한 인물은 의기양양 에헴~
 
# 갑술환국 : 환국 그림 옆에 갑술 한자
 
# 경신환국 : 환국 그림 옆에 경신 한자
 
# 기사환국 : 환국 그림 옆 기사 한자
 
# 정미환국 : 환국 그림 옆 정미 한자
 
# 화차
 
# 총통
 
# 호리병
 
# 호산춘 : 호리병 + 한자로 호산춘
 
# 향음례 : 호리병 + 중인 초년 + 한자로 향음례
 
# 일본 장수 - 화초머리 일본인얼굴 + 일본장수복장
 
# 일본인(유타카 입고 있는 남자) - 화초머리 일본인얼굴 + 유타카
 
# 현대복장 남자 초년 - 인물 구도에 초년얼굴에 파랑 양복으로.
 
# 현대복장 남자 중년 - 인물 구도에 중년얼굴에 검정 양복으로.
 
# 현대복장 남자 노년 - 인물 구도에 노년얼굴에 회색 양복으로.
 
# 설화 : 사화 이모티콘 이용 + 오른쪽 사람은 현대인 옆모습 + 뒤에는 말풍선
 
# 묘청의 난 : 컨셉은 '난'과 동일 단, 복장을 고려시대 복장으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5937&cid=46621&categoryId=46621 복장참고]
 
 
===기존 합성===
 
# 백제왕 : 신라왕 복식만 자주색으로 바꾸고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827793&memberNo=1002028 금동관]이걸로 디자인만...
 
# 고려인 : 고려문신 복장을 분홍색으로 바꾸고, 모자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5937&cid=46621&categoryId=46621 이것]으로
 
# 정묘호란 : 성전투에 활용된 군사들 + 한자로 정묘호란
 
# 병자호란 : 성전투에 활용된 군사들 + 한자로 병자호란
 
# 사옥 : 지부복궐상소 이용해서 옷 색 흰색으로, 봉두난발로...
 
# 신유사옥 : 지부복궐상소 이용해서 옷 색 흰색으로, 봉두난발로... + 신유 한자
 
# 병오사옥 : 지부복궐상소 이용해서 옷 색 흰색으로, 봉두난발로... + 병오 한자
 
# 병인사옥 : 지부복궐상소 이용해서 옷 색 흰색으로, 봉두난발로... + 병인 한자
 
# 난 : 민족 조선 의병장 + 깃발 합성
 
# 이인좌의 난 : 난 뒤에 깃발에 이인좌
 
# 이괄의 난 : 난 뒤에 깃발에 이괄
 
# 이시애의 난 : 난 뒤에 깃발에 이시애
 
# 홍경래의 난 : 난 뒤에 깃발에 이시애
 
# 민란 : 컨셉은 난과 동일한데 복장이 평민복장
 
# 고부민란 : 민란에 복장이 평민복장 + 고부민란 옆에 쓰기
 
# 동학농민운동 : 민란에 복장이 평민복장 + 동학농민 이라고 옆에 쓰기
 
# 사진작가 : 민족 작가 + 사진기 합성
 
# 영당 : 기존 사당 처럼 그 안에 그림 아이콘 하나만
 
# 현판 모양 : 기존
 
# 성씨 : 기존
 
# 현대 단행본
 
# 경영 : 관리집단 아이콘에서 중간 두 인물 빼고, 젤 끝에 인물 왕복장으로 바꾸기
 
# 학파 : 관리집단 복장을 중인 복장으로 
 
# 기호학파 : 관리집단 복장을 중인 복장으로 + 기호 한문
 
# 강화학파 : 관리집단 복장을 중인 복장으로 + 강화 한문
 
 
===완료===
 
# 수군통제사, 수군절도사 : 거북선 위에 칼들고 있는거 합성 - '''지선완료'''
 
# 초상 : 양반 아이콘 + 팔레트 - '''지선완료'''
 
# 진영 : 고승 아이콘 + 팔레트 - '''지선완료'''
 
# 어진 : 임금 + 팔레트 - '''지선완료'''
 
# 표준영정 : 장군 + 팔레트 - '''지선완료'''
 
# 공신도상 : 문관 아이콘 + 팔레트하나 - '''지선완료'''
 
# 보사공신 - '''지선완료'''
 
# 적개공신 - '''지선완료'''
 
# 분무공신 - '''지선완료'''
 
# 진무공신 - '''지선완료'''
 
# 정사공신 - '''지선완료'''
 
# 좌명공신 - '''지선완료'''
 
# 호성공신 - '''지선완료'''
 
# 1층 궁궐 : 사찰 이미지에 왕+왕비 합성 - '''지선완료'''
 
# 2층 궁궐 : 1층 궁궐에 지붕 하나만 더 올리기 - '''지선완료'''
 
# 사육신 - '''지선완료'''
 
# 생육신 - '''지선완료'''
 
 
===필요===
 
* 5개 추가
 
  
 
==전자지도<small>(KML)</small>==
 
==전자지도<small>(KML)</small>==

2017년 11월 5일 (일) 06:05 판

역사인물초상화관 메인페이지

전체 계획

사진(JPG)

  • 신규자료제작 500EA
  • 제작맥락 : 답사지 20곳×최소 25EA 이상 촬영

파빌리온(HTML5)

  • 신규자료제작 20EA
  • 제작맥락 : 답사지 20곳 기준

일러스트(JPG)

  • 신규자료제작 70EA
  • 제작맥락 : 1차년도 사업에서 제작되지 않은 노드를 중심으로 선정

전자지도(KML)

  • 신규자료제작 30EA
  • 제작맥락 :

네트워크 그래프(HTML5)

  • 신규자료제작 70EA
  • 제작맥락 : 인물 100명 가운데 70명 선정

파빌리온 제작

일러스트 제작

전자지도 제작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일반 사항

  • 70
  • 70건 가운데 63
    • 단일인물 네트워크
    • 중심인물 100인 가운데 1년차 사업 관련 인물 76인 기준
      • 76인 가운데 승탑비 중심 승려 4인을 제외할 경우 72인 기준
      • 72인 가운데 9(이조년, 염제신, 김응서, 이천우, 계월향, 강민첨, 이광사, 서명응, 양만춘) 제외한 63
    • 작성자 9명이 1인당 대략 7개 네트워크를 제작해야 하는 상황
  • 70건 가운데 7건
    • 인물연결 네트워크
    • 향후 파빌리온 제작 건 가운데 7건 선정 및 작업 예정

작성자별 제작대상

서소리

김사현

이창섭

김누리

김현규

김선미

최한샘

이혜영

김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