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명전진찬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848년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 | 1848년(헌종 14)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ref>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ref> |
=='''내용'''== | =='''내용'''== | ||
− | [[왕]], [[왕비]], [[경빈 김씨]]가 | + | 이날 연회에서 [[왕]], [[왕비]], [[경빈 김씨]]가 술 세 잔을 올렸고[獻爵], [[내명부]], [[외명부]], [[종친]], [[의빈|의빈(儀賓)]], 척신(戚臣), 반수(班首)가 이어 헌작하였다. [[대왕대비]], [[왕비]]는 [[왕비의 대례복|대례복]]인 [[적의]]를 입고, [[왕]]은 [[왕의 상복|상복]]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착용했다. [[경빈 김씨]]는 [[명복]], [[내명부]]와 [[외명부]]는 [[외명부의 예복|예복]], [[종친]] 및 [[의빈]]은 [[단령|흑단령]], 동몽(童蒙)은 [[청금복]]을 착용했다. 정재는 몽금척지무(夢金尺之舞)<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6276&cid=46666&categoryId=46666 몽금척지무(夢金尺之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하황은(荷皇恩)<ref>송방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9727&cid=42607&categoryId=42607 하황은(荷皇恩)]", 한겨레음악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향령무(響鈴舞)<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7308&cid=46666&categoryId=46666 향령무(響鈴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헌선도(獻仙桃)<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7605&cid=46666&categoryId=46666 헌선도(獻仙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관동무(關東舞),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8321&cid=46666&categoryId=46666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보상무(寶相舞)<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6652&cid=46666&categoryId=46666 보상무(寶相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무고(舞鼓)<ref>송방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1235&cid=42607&categoryId=42607 무고(舞鼓)]", 한겨레음악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포구락(抛毬樂)<ref>송방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9538&cid=42607&categoryId=42607 포구락(抛毬樂)]", 한겨레음악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아박무(牙拍舞)<ref>송방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4191&cid=42607&categoryId=42607 아박무(牙拍舞)]", 한겨레음악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선유락(船遊樂)<ref>송방송,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3164&cid=42607&categoryId=42607 선유락(船遊樂)]", 한겨레음악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의 13개가 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345~346쪽.</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 37.580779|| 126.994551|| [[창경궁 통명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1에 위치한다 | | 37.580779|| 126.994551|| [[창경궁 통명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1에 위치한다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11월 4일 (토) 14:52 기준 최신판
통명전진찬의 (通明殿進饌儀) |
|
대표명칭 | 통명전진찬의 |
---|---|
한자표기 | 通明殿進饌儀 |
유형 | 의례 |
관련개념 | 가례, 연향례 |
정의
1848년(헌종 14)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1]
내용
이날 연회에서 왕, 왕비, 경빈 김씨가 술 세 잔을 올렸고[獻爵], 내명부, 외명부, 종친, 의빈(儀賓), 척신(戚臣), 반수(班首)가 이어 헌작하였다. 대왕대비, 왕비는 대례복인 적의를 입고, 왕은 상복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착용했다. 경빈 김씨는 명복, 내명부와 외명부는 예복, 종친 및 의빈은 흑단령, 동몽(童蒙)은 청금복을 착용했다. 정재는 몽금척지무(夢金尺之舞)[2], 하황은(荷皇恩)[3], 향령무(響鈴舞)[4], 헌선도(獻仙桃)[5] 관동무(關東舞),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6], 보상무(寶相舞)[7], 무고(舞鼓)[8], 포구락(抛毬樂)[9], 아박무(牙拍舞)[10], 선유락(船遊樂)[11]의 13개가 행해졌다.[1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대왕대비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왕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왕비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경빈 김씨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외명부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동몽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종친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의빈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헌종무신진찬례 | 통명전진찬의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왕 | 왕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비 | 왕비의 대례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대왕대비 | 왕비의 대례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48년 3월 19일 | 창경궁 통명전에서 통명전익일회작의가 거행되었다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80779 | 126.994551 | 창경궁 통명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1에 위치한다 |
주석
-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 ↑ "몽금척지무(夢金尺之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송방송, "하황은(荷皇恩)",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향령무(響鈴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헌선도(獻仙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보상무(寶相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송방송, "무고(舞鼓)",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송방송, "포구락(抛毬樂)",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송방송, "아박무(牙拍舞)",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송방송, "선유락(船遊樂)",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345~34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더 읽을거리
- "내진찬 순서 재현",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