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4번째 줄: 14번째 줄:
 
|위도=
 
|위도=
 
|수량=
 
|수량=
|관련인물= [[운선도]]
+
|관련인물= [[윤선도]]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장소=

2017년 10월 30일 (월) 03:25 판

낙서재
(樂書齋)
한글팀 낙서재.jpg
대표명칭 낙서재
한자표기 樂書齋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미지정
관련인물 윤선도
관련유물유적 고산유고


정의

낙서재는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병풍바위 아래 위치한 유적지이다.

내용

낙서재는 고산 윤선도가 거처하던 곳이다. 윤선도는 해남에서 병자호란으로 왕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이를 부끄럽게 생각하고 산이 깊고 물이 맑아 아름다운 섬인 보길도(甫吉島)에 은거하고 정착한 그 일대를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하였다. [1]
이후 부용조의 격자봉(格紫峯)에 올라가서 주산(主山)의 형국(形局)을 파악하고 그 혈맥(穴脈)이 세차례나 꺽여 내려오는곳에 소은병(小隱屛)병풍바위 아래 낙서재터를 잡았다. 풍수지리에 밝은 고산이 격자봉의 혈맥을 찾아 吉地에 낙서재 터를 잡은 것이다. 낙서재란 독서를 즐기며 학문하는 선비의 삶을 상징한다. 윤선도는 이곳에서 많은 책을 쌓아두고 독서하며 자제들을 가르쳤으며 부용동원림(芙蓉洞圓林)중에서도 낙서재 지역을 추천 주거공간(住居空間)으로 삼았다. 윤선도가 고산유고를 저술한 것도 이 곳이다..[2] 또한 윤선도는 이곳에서 어부사시사를 저술하였다.

외관

낙서재의 형국 요처가 되는곳은 소은병과 귀암(龜岩) 그리고 뒤에 자리잡고 있는 격자봉이다. 소은병은 낙서재터의 뒤에있는 2.5m 높이의 병풍바위이다. 소은(小隱)은 세속을 싫어하여 은둔해 있다는 뜻이며 은병청풍(隱屛淸風)이라는 부용동팔경이 있다. 또 낙서재 앞뜰에 있었다는 바위가 귀암이다. 2.8m의 거북바위라고도 한다. 고산은 4령(봉황 기린 용 거북)이라고 하고 저녁이면 귀암에 앉아 보름달을 즐겼다고 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낙서재 윤선도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낙서재 고산유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남윤씨 녹우당 낙서재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학성, "윤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낙서재",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 』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네이버 참조: "낙서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
  3. "낙서재",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문화콘텐츠닷컴 』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네이버 참조: "낙서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