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적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시대 [[왕비]][[왕세자빈]], 대한제국시대 [[황후]][[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시나 [[책례]]를 받을 때 가장 겉에 입는 포 형태의 옷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6쪽.</ref>
+
조선시대 [[왕비]], [[왕세자빈]]대한제국시대 [[황후]], [[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가례]], [[책례]]를 행을 때 가장 겉에 입는 포 형태의 옷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6쪽.</ref>
  
 
=='''내용'''==
 
=='''내용'''==
조선시대 [[왕비]]는 대홍색, [[왕세자비]]와 [[왕세손비]] 흑색(아청색)인데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로 양옆이 트여 있다. 봉황무늬 장식의 원형 장식편 36개를 장식하는데 [[영조]]대에 51개로 증가한다. 가슴과 등, 양어깨에는 구름과 봉황무늬가 있는 2쌍의 [[보(왕실여성) | 보(補)]]를 달아 준다.<ref>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242~243쪽.</ref> 대한제국시대 [[황후]]는 심청색 적의에 148쌍의 꿩과 이화문을 12등으로 제직하고 [[황태자비]]([[왕비]])는 심청색 적의에 138쌍의 꿩과 이화문을 9등으로 제직한다. 깃, 도련, 수구에는 홍색 바탕에 연금사로 직금하여 선을 댔는데 [[황후]]는 구름과 용무늬, [[황태자비]]([[왕비]])는 구름과 봉황무늬로 구별한다. 가슴과 등, 양어깨에는 황후와 황태자비(왕비) 모두 오조룡(五爪龍) [[보(왕실여성) | 보(補)]]를 달아 준다.<ref>김소현, 『아름다운 시작』,「조선왕실의 적의」,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84쪽.</ref>
+
조선시대 [[왕비]]는 대홍색, [[왕세자비]]와 [[왕세손비]] 흑색(아청색)인데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로 양옆이 트여 있다. 봉황무늬가 있는 원형 장식 편 36개를 장식하는데 [[영조]]대에 51개로 증가한다. 가슴과 등, 양어깨에는 구름과 봉황무늬가 있는 2쌍의 [[보(왕실여성)|보(補)]]를 달아 준다.<ref>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242~243쪽.</ref> 대한제국시대 [[황후]]는 심청색 [[적의]]에 148쌍의 꿩과 이화문을 12등으로 제직하고 [[황태자비]]는 심청색 [[적의]]138쌍의 꿩과 이화문을 9등으로 제직한다. 깃, 도련, 수구에는 홍색 바탕에 연금사로 직금하여 선을 댔는데 [[황후]]는 구름과 용무늬, [[황태자비]][[왕비]]는 구름과 봉황무늬로 구별한다. 가슴과 등, 양어깨에는 황후와 황태자비(왕비) 모두 오조룡(五爪龍) [[보(왕실여성)|보(補)]]를 달아 준다.<ref>김소현, 『아름다운 시작』,「조선왕실의 적의」,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84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0월 25일 (수) 20:49 판


적의
(翟衣)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대표명칭 적의
한자표기 翟衣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왕비, 왕세자빈과 대한제국시대 황후, 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가례, 책례를 행을 때 가장 겉에 입는 포 형태의 옷이다.[1]

내용

조선시대 왕비는 대홍색, 왕세자비왕세손비 흑색(아청색)인데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로 양옆이 트여 있다. 봉황무늬가 있는 원형 장식 편 36개를 장식하는데 영조대에 51개로 증가한다. 가슴과 등, 양어깨에는 구름과 봉황무늬가 있는 2쌍의 보(補)를 달아 준다.[2] 대한제국시대 황후는 심청색 적의에 148쌍의 꿩과 이화문을 12등으로 제직하고 황태자비는 심청색 적의에 138쌍의 꿩과 이화문을 9등으로 제직한다. 깃, 도련, 수구에는 홍색 바탕에 연금사로 직금하여 선을 댔는데 황후는 구름과 용무늬, 황태자비왕비는 구름과 봉황무늬로 구별한다. 가슴과 등, 양어깨에는 황후와 황태자비(왕비) 모두 오조룡(五爪龍) 보(補)를 달아 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적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적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적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적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빈 적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후의 대례복 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비의 대례복 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대례복 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적의 대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적의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6쪽.
  2.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242~243쪽.
  3. 김소현, 『아름다운 시작』,「조선왕실의 적의」,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84쪽.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5.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金永才, 「法服衍義 -여자 법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김소현ㆍ안인실ㆍ장정윤, 「조선시대 적의의 용례와 제작에 대한 고찰」, 『服飾』 57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7.
  • 김연자, 「조선왕조 왕세자빈 적의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金永才, 「法服衍義 -여자법복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林柍住, 「翟衣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朴聖實, 「翟衣制度의 變遷 硏究」, 『服飾』 9권, 1985.
  • 白英子, 「嘉禮都監을 通해 본 李朝 宮中法服의 變遷」, 『한국의류학회지』 1권 2호, 1977.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임명미, 「우리나라 翟衣의 由來와 制度에 관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洪那英ㆍ柳喜卿, 「朝鮮王朝의 王妃法服에 관한 硏究」, 『服飾』 7권, 198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