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의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77번째 줄: 77번째 줄:
 
**김정선, 「조선 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 『醫史學』vol.16, 대한의사학회, 2007.  
 
**김정선, 「조선 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 『醫史學』vol.16, 대한의사학회, 2007.  
 
**류희영, 류영수,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대한한의학회』, 1990.
 
**류희영, 류영수,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대한한의학회』, 1990.
 
  
 
[[분류: 한글고문서]]
 
[[분류: 한글고문서]]
 
[[분류 : 단체]]
 
[[분류 : 단체]]

2017년 10월 17일 (화) 11:16 판

내의원(內醫院)
대표명칭 내의원
한자표기 內醫院
이칭 내국(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유형 관청
창립자 세종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443
변경일 1885, 1895
주요업무 왕의 약을 조제


정의

내의원은 조선시대 때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로서, 내국(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등으로 불렸다. [1]

내용

조선 건국초에 반포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으나, 태종 때 왕실의 내용약(內用藥)을 맡은 기관으로서 내약방이 있었다. 그 뒤 1443년(세종 25) 6월에 이조(吏曹)에 계청(啓請)하여 내약방을 내의원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 제거(提擧), 6품 이상은 별좌(別坐), 참외(參外)는 조교라 하였다. 따라서, 이때에 이르러 비로소 독립관제로서의 내의원이 설치된 것이다. 내의원은 1885년(고종 22)에 전의사(典醫司), 1895년에 태의원(太醫院), 민족항일기에는 이왕직전의국(李王職典醫局)으로 되었다.[2]

관제

1466년(세조 12) 1월 관제개혁 때 내의원에 소속된 관직은 정(正)·첨정(僉正) 각 1인, 판관(判官)·주부(注簿) 각 2인, 직장(直長) 3인, 봉사(奉事)·부봉사(副奉事)·참봉(參奉) 각각 2인씩 두어졌다. 이것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인원수에 약간 증감이 있었을 뿐 그 관제는 그대로 존속되었다. 특히, 이때에 와서는 새로이 도제조(都提調)·제조·부제조를 1인씩 두었는데, 부제조는 승지가 겸임하였다. 그 뒤 ≪속대전≫에 와서는 직장이 3인에서 1인으로 감축되었다. ≪육전조례 六典條例≫에는 위의 관원 외에 산원의관(散員醫官)으로 정원이 없고 위직으로 충당되는 당상(堂上)과 당하 12인, 위직 2인, 침의(鍼醫) 12인, 의약동참(議藥同參) 12인, 어의 3인, 이서(吏胥)로는 서원 23인, 종약서원(種藥書員) 2인, 대청직(大廳直) 2인, 도례(徒隷)로는 본청사령(本廳使令) 7인, 임시사령 5인, 의약청사령 2인, 침의청사령 2인, 급수사령(汲水使令) 1인, 군사(軍士) 2인, 의녀(醫女) 22인, 수여공(水女工) 2인, 동변군사(童便軍士) 3인, 삼청군사(三廳軍士) 18인을 두었다.[3]

시각자료

갤러리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내의원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간행하였다 1608년
내의원 언해태산집요 A는 B를 간행하였다 1608년
내의원 언해두창집요 A는 B에 언급되었다
내의원 구급간이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1489
내의원 구급간이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1489
허준 내의원 A는 B에 소속된다
윤호 내의원 A는 B에 소속된다
내의원 구급방 A는 B를 간행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443년 독립관제로서의 내의운이 설치되었다
1885 내의원이 전의사로 개명되었다
19895 내의원이 태의원으로 개명되었다
1900- 내의원이 이왕직전의국으로 개명되었다

주석

  1. 김신근"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신근"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신근"내의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규근, 「조선후기 內醫院 醫官 연구 : 內醫先生案의 분석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6.
    • 김정선, 「조선 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 『醫史學』vol.16, 대한의사학회, 2007.
    • 류희영, 류영수,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대한한의학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