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중화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망암집에 묘사된 변이중화차) |
(→망암집에 묘사된 변이중화차)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파일: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변이중화차.jpg |[[망암집]]에 기록된 [[변이중화차]] 도면<ref>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ref> | 파일:민족기록화_물품_변이중화차_변이중화차.jpg |[[망암집]]에 기록된 [[변이중화차]] 도면<ref>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ref> | ||
</gallery> | </gallery> | ||
− | 변이중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ref>"[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198&content_id=cp020811980001&print=Y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 변이중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ref>"[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198&content_id=cp020811980001&print=Y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10월 16일 (월) 16:38 판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 |
대표명칭 | 변이중화차 |
---|---|
한자표기 | 邊以中火車 |
이칭 | 변이중 화차 |
유형 | 화차 |
시대 | 조선 |
관련인물 | 변이중 |
관련물품 | 문종화차 |
목차
정의
변이중이 임진왜란 중에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화차.
내용
변이중화차의 탄생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는데, 이 중 네 번째로 발명된 변이중화차는 임진왜란중인 1592년(선조 25) 변이중(邊以中)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총통기를 설치하고 총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1]
변이중은 1593년 2월 12일의 행주대첩에서 권율(權慄)장군에게 300대의 변이중화차 중 40대를 지원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큰 효과를 보았다.[2]
망암집에 묘사된 변이중화차
변이중의 후손들이 그가 남긴 글을 모은 《망암집》 卷3 부록에 실린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과 「화차도설(火車圖說)」에는 문종화차에 대한 도면과 설명문, 자신이 개량한 '변이중화차' 도면이 들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한 줄의 간단한 설명과 도면만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수레 하나에 40개의 구멍을 열어 승자총통 40개를 도화선을 연결하여 발포한다 一車開四十穴勝字筒四十連心發火 |
||
출처: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86쪽.[3] |
변이중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변이중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변이중화차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각자료
영상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게시일: 2014년 07월 25일)
갤러리
주석
- ↑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86쪽.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 ↑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7-508쪽.
- 웹 자원
-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채연석, "화차",
유용한 정보
- 망암집 , 변이중
채연석, "화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