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후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참고문헌)
93번째 줄: 93번째 줄: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10월 13일 (금) 13:43 판


황후의 대례복
(皇后의 大禮服)
대표명칭 황후의 대례복
한자표기 皇后의 大禮服
이칭별칭 적의(翟衣)
분류 예복
착용신분 황후
착용성별 여성



정의

대한제국의 황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가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을 때 대수와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왕실 여성의 대례복도 이에 합당한 의복제도를 정하기 위해 『대명회전』에 근거하여 적의 제도를 새로 마련했다. 적의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等]에 차등을 두었는데, 황후는 12등(等)이다.[2]

복식구성

대수(大首), 적의(翟衣), 전행웃치마,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하피(霞帔), 청석(靑舃), 청말(靑襪), 규(圭)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황후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후의 대례복 대수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황후의 대례복 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대란치마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스란치마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중단(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전행웃치마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대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옥대(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폐슬(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패옥(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후수(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청말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청석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규(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하피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후의 대례복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7850 126.989909 창덕궁 돈화문 근처 상의원에서 황후의 대례복을 제작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아름다운 시작』,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 국립고궁박물관,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林柍住, 「翟衣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朴聖實, 「翟衣制度의 變遷 硏究」, 『服飾』 9권, 1985.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일러스트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