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규(왕실여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67번째 줄: 67번째 줄: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3번째 줄: 73번째 줄: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10월 2일 (월) 18:01 판



(圭)
영친왕비의 규,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한자표기
구분 기타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왕비왕세자빈, 대한제국시대 황후황태자비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시나 책례를 받을 때 손에 쥐는 옥판이다.[1]

내용

천자로부터 받은 땅을 재고 다스린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형태이며 위가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진 오각형 옥판으로, 위가 산형(山形)으로 둥근 것도 있다. 손으로 잡는 아랫부분은 비단으로 만든 싸개로 감쌌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별도의 전용 주머니에 넣어 보관한다. 황후와 황태자비의 규에는 곡식무늬가 새겨져 있다. 주머니의 색은 황후가 황색,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이 홍색이다.[2] 1638(인조 16) 인조장렬왕후가례에서는 '청옥규'를 들었으나 그 이후에는 모두 '백옥규'를 들었다. 『국조속오례의보서례』에는 와 그 제도가 같다고 했으나 현재 전하는 영친왕비의 와 달리 윗부분이 뾰족한 산형이 아니라 둥근 산형을 이루고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규(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규(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규(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규(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빈 규(왕실여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후의 대례복 규(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비의 대례복 규(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비의 대례복 규(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대례복 규(왕실여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규(왕실여성) 적의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규(왕실여성) 대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규(왕실여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7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7쪽.
  3.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105쪽.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