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법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법장 |영문명칭= |한자=法藏 |생년= |몰년= |시호= |호=국일법사(國一法師), 향상대사(香象大師), 강...)
(차이 없음)

2017년 10월 1일 (일) 16:48 판

법장(法藏)
BHST Monk1.png
대표명칭 법장
한자 法藏
국일법사(國一法師), 향상대사(香象大師), 강장국사(康藏國師)
법호 현수(賢首)
성씨 강(康)
출신지 강거(康居, 사마르칸트)


정의

당나라 화엄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법장(法藏, 643-712)의 선조는 서역(西域)의 강거(康居:사마르칸트) 사람이었으나, 아버지 때에 이르러 집안 전체가 중국으로 와서 장안(長安)에서 살았다. 조부 때 장안(長安)으로 왔다고 한다.[1]

출가 수행

17살 때 화엄종(華嚴宗) 제2조(祖) 지엄(智儼, 602-668)이 운화사(雲華寺)에서 『화엄경』(華嚴經)을 강론하는 것을 듣고 의상(義湘) 등과 함께 그 제자가 되었으며, 26살 때에 보살계(菩薩戒)를 받고 670년 태원사(太原寺)에서 출가하였다. [2]

활동

처음에 서역(西域) 여러 나라 말과 범문(梵文) 경전에 능통하여 마침내 황명을 받들어 의정(義淨)의 역장(譯場)에 참여하고, 『신화엄경(新華嚴經)』과 『대승능가경(大乘入楞伽經)』 등 10여 부(部)를 번역했다.[3] 일설에는 현장(玄奬)이 인도에서 가지고 온 경전을 번역할 때에도 도왔으나, 모든 중생이 불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하는 현장의 주장에 반대하여 결별했다고 한다.[4]

670년에 측천무후(則天武后)가 낙양(洛陽)에 태원사(太原寺)를 창건하고, 칙명으로 법장에게 삭발하고 그곳에 머물게 하였다.[5]

측천무후(武后)에게 화엄십현연기(華嚴十玄緣起)의 깊은 뜻을 가르쳤는데, 궁전 곁에 있던 금사자(金獅子)를 비유로 들자 무후가 활연(豁然)이 이해했다. 나중에 『금사자장(金師子章)』을 편찬했다. 평생 화엄에 대해 30여 차례 강의했다.[6]

중종(中宗)은 현수에게 ‘국일(國一)’이라는 호를 하사하기까지 하였다. 현수는 화엄종을 대성시킨 사람이며, 제자에 굉관(宏觀)·문초(文超)·지광(智光)·혜원(慧苑) 등이 있다.[7]

입적

현종(玄宗) 선천(先天) 원년 11월 대천복사(大薦福寺)에서 입적했고, 세수(世壽) 70세다.[8]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탁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탁연 수선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탁연 최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탁연 보한집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현수", 두산백과
  2. 현수법장, 용어사전, 한국콘텐츠진흥원
  3. "법장",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4. 법장, 다음백과
  5. "법장", 시공불교사전
  6. "법장",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7. "현수", 두산백과
  8. "법장",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참고문헌

  • 안성두, "탁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