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_대사례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_대사례의궤_규장각.jpg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시사시쟁_대사례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쟁
 
|대표명칭= 쟁
 
|한자표기= 錚
 
|한자표기= 錚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
|이칭= 금(金)
 
|유형= 의례 물품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시대= 조선
13번째 줄: 13번째 줄:
 
|관련단체=
 
|관련단체=
 
|관련장소= [[성균관|성균관(成均館)]]
 
|관련장소= [[성균관|성균관(成均館)]]
|관련물품=  
+
|관련물품= [[주칠고|주칠고(朱漆鼓)]]
 
|관련유물유적=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
[[대사례]]에서 [[종친]]과 [[백관]]이 쏜 화살의 명중 여부를 알리는 징이다.
  
 
=='''내용'''==
 
=='''내용'''==
 
+
화살이 적중하면 북을 울리고, 적중하지 않으면 [[쟁|쟁(錚)]]을 쳤다.<br/>
 +
쟁은 지금의 징으로, 금(金)이라고도 하였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8번째 줄: 29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쟁(錚) || [[@@|@@(@@)]]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쟁(錚) || [[주칠고|주칠고(朱漆鼓)]]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쟁(錚) || [[백관|백관(百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쟁(錚) || [[대사례의궤|『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쟁(錚) || [[대사례의궤|『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38번째 줄: 41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gallery>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_대사례의궤_규장각.jpg|쟁<ref>『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시사시쟁_대사례의궤_규장각.jpg|쟁<ref>『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ref>
 
</gallery>
 
</gallery>
  
48번째 줄: 51번째 줄: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009&category=A&sWord=%EA%B0%80%EC%9D%B4 쟁(錚)]",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허태구,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128&category=A&sWord=쟁(錚)]",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9월 30일 (토) 14:54 판


쟁(錚)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한자표기
이칭 금(金)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군례(軍禮)-대사례(大射禮)에 사용
관련장소 성균관(成均館)
관련물품 주칠고(朱漆鼓)



정의

대사례에서 종친백관이 쏜 화살의 명중 여부를 알리는 징이다.

내용

화살이 적중하면 북을 울리고, 적중하지 않으면 쟁(錚)을 쳤다.
쟁은 지금의 징으로, 금(金)이라고도 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쟁(錚) 주칠고(朱漆鼓)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A ekc:goesWith B
쟁(錚) 백관(百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쟁(錚)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쟁(錚) 대사례(大射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허태구, "쟁(錚)",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김경미, 「조선시대 군례 의식의 복식 분석과 장면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종배, 「조선시대 성균관 대사례의 시행과 그 의의」, 『교육사학연구』제13호, 교육사학회, 2003, 33~58쪽.
  • 신병주, 「영조대 대사례의 실시와 『대사례의궤』」, 『한국학보』제28호, 일지사, 2002, 61~90쪽.
  • 이찬우, 「조선시대 활쏘기 의식 : 18세기 영ㆍ정조 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왕무, 「조선전기 군례의 정비와 사례의 의례화」, 『동양고전연구』제54호, 동양고전학회, 2014, 319~348쪽.
  • 최규순, 「반지(扳指)와 깍지(角指)」, 『문헌과 해석』제42호, 태학사, 2008, 83~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