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흑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별칭=  
 
|이칭별칭=  
 
|구분= 기타
 
|구분= 기타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
|착용신분= [[왕세자빈]], [[왕세손빈]], [[혜경궁 홍씨]]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
 
}}
  
==정의==
+
=='''정의'''==
대례복인 [[적의]] 차림에 갖추어 신는 [[버선]]으로 [[흑석]]과 동일한 색의 버선을 신는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6쪽.</ref>
+
[[왕세자빈]], [[왕세손빈]], [[혜경궁 홍씨]]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는 등 [[적의]]를 착용할 때 갖추어 신는 [[버선]]으로 [[흑석]]과 동일한 색의 버선을 신는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6쪽.</ref>
  
==내용==
+
=='''내용'''==
===복식구성===
+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너비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64~365쪽.</ref> 흑색 비단으로 만드는데, [[청말]]이라고 한다. [[청말]]은 발과 목 부분이 통으로 재단된 것과 따로 재단된 것 두 종류가 있는데, 회목 옆이나 부리 뒤쪽에 끈을 달아 고정하게 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2쪽.</ref>
===착용신분===
 
[[왕세자빈]], [[왕세손빈]]이 신는다.
 
  
===착용상황===
+
=='''지식 관계망'''==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등에 신는다.
 
 
 
===형태===
 
[[버선]]의 발과 목 부분이 통으로 재단된 것과 따로 재단된 것 두 종류가 있다. 발목 부분인 회목 옆이나 발을 넣는 부분인 부리 뒤쪽에 끈을 달아 고정하기도 한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6쪽.</ref>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빈]] || 청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혜경궁 홍씨]] || 청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빈의 대례복]] ||  청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 청말 || [[적의]]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54번째 줄: 42번째 줄: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 金鎭玖, 「보션과 쳥의 名稱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복식문화학회, 1998.
 +
* 文明玉, 「韓服 버선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文明玉ㆍ金也之, 「韓服 버선에 관한 硏究 -버선 原型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9권 2호, 1985.
 +
* 손경자, 「버선의 연구 I」, 『服飾』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2017년 9월 17일 (일) 20:18 판


흑말
(黑襪)
대표명칭 흑말
한자표기 黑襪
구분 기타
착용신분 왕세자빈, 왕세손빈, 혜경궁 홍씨
착용성별 여성



정의

왕세자빈, 왕세손빈, 혜경궁 홍씨가 국가의 큰 제례에 참여하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례를 받는 등 적의를 착용할 때 갖추어 신는 버선으로 흑석과 동일한 색의 버선을 신는다.[1]

내용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너비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2] 흑색 비단으로 만드는데, 청말이라고 한다. 청말은 발과 목 부분이 통으로 재단된 것과 따로 재단된 것 두 종류가 있는데, 회목 옆이나 부리 뒤쪽에 끈을 달아 고정하게 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세자빈 청말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혜경궁 홍씨 청말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의 대례복 청말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청말 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6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64~365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鎭玖, 「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金鎭玖, 「보션과 쳥의 名稱 硏究」, 『복식문화연구』 6권 3호, 복식문화학회, 1998.
  • 文明玉, 「韓服 버선의 適合性에 關한 硏究」,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文明玉ㆍ金也之, 「韓服 버선에 관한 硏究 -버선 原型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9권 2호, 1985.
  • 손경자, 「버선의 연구 I」, 『服飾』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