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백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형태)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대대 01.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밀창군 이직(李樴, 1677~1746)묘 출토 대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
|대표명칭= 대대 | |대표명칭= 대대 | ||
|한자표기= 大帶 | |한자표기= 大帶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대사(大社), 경사일(慶事日), 원단(元旦), 동지(冬至) 및 조칙(詔勅)을 반포하거나 진표(進表)할 때 [[백관의 조복]]을 입을 때와 국가 [[제례]]에 [[백관의 제복]]을 입을 때 착용한다. | |
=='''내용'''== | =='''내용'''== | ||
+ | 의복을 묶는 역할을 하던 것으로 혁대를 겉에서 감싸 묶기도 하였고, 또 상의의 옷깃을 여며 의복을 온전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허리띠이다.<ref>정혜경, 『深衣』,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203쪽.</ref> 긴 띠 형태로,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신(紳)]]’으로 이루어졌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57쪽~61쪽. </ref> 제도상으로는 [[대대(백관)]]와 [[후수(백관)]]가 따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밀창군 이직]]의 [[대대(백관)]]를 제외한 조선후기의 유물들이 [[대대(백관)]]와 [[후수(백관)]]가 연결되어 있어 착용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ref>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8쪽.</ref> 조선말기에는 [[대대(백관)]]와 [[후수(백관)]]가 장식적이고 화려하게 변화되어 색상도 다양해졌다.<ref>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8쪽.</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관계정보===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백관]]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 [[백관의 조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백관의 제복]] || '''{{PAGENAME}}'''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대대(백관) || [[조복 상의]]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대대(백관) || [[제복 상의]]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대대(백관) || [[조복 하상]]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대대(백관) || [[제복 하상]]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 ===공간정보=== | |
− | === | + | =='''시각자료'''== |
− | +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대대 02.jpg|『國朝五禮儀序例』 백관 대대.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대대 02.jpg|『國朝五禮儀序例』 백관 대대.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대대후수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문무백관 대대후수 01.jpg|심동신(沈東臣, 1824∼?)의 후수와 대대.<ref>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20쪽. .</ref> |
</gallery> | </gallery>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
− | 파일: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종친 밀창군01 초상화의 비밀146쪽.jpg |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1677~1764)의 조복 착용 초상.<ref>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ref>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이익정01 초상화의 비밀 147.jpg | 이익정(李益炡, 1699~1782)의 조복 착용 초상.<ref>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ref>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장 조복 03.jpg |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의 조복 착용 초상.<ref>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6, 26쪽.</ref> | ||
</gallery> | </gallery> | ||
− | + | ===영상===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인용 및 참조=== |
+ | * 高光林, 「金冠 朝服에 關한 硏究」,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12, 1978. | ||
+ | * 古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 | * | + | * 李相恩, 『朝鮮王朝服飾史論』, 東方圖書, 1992. |
+ | * 李善熙, 「祭服의 起源과 變遷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
+ | * 朴京子, 「祭禮의 思想과 祭服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 | * | + | * 石宙善, 『衣』, 고려서적주식회사, 1985. |
− | * | + | * 임상임ㆍ유관순ㆍ추미경, 「조선후기 죽산(竹山) 박씨 집안의 조복(朝服)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赤綃衣·赤綃裳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권 5호, 한국의류학회, 2002. |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
− | |||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 | == | + | ===더 읽을거리=== |
− | + | ===유용한 정보===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9월 15일 (금) 16:46 판
대대 (大帶) |
|
대표명칭 | 대대 |
---|---|
한자표기 | 大帶 |
구분 | 대 |
착용신분 |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대사(大社), 경사일(慶事日), 원단(元旦), 동지(冬至) 및 조칙(詔勅)을 반포하거나 진표(進表)할 때 백관의 조복을 입을 때와 국가 제례에 백관의 제복을 입을 때 착용한다.
내용
의복을 묶는 역할을 하던 것으로 혁대를 겉에서 감싸 묶기도 하였고, 또 상의의 옷깃을 여며 의복을 온전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허리띠이다.[1] 긴 띠 형태로,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紳)’으로 이루어졌다.[2] 제도상으로는 대대(백관)와 후수(백관)가 따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밀창군 이직의 대대(백관)를 제외한 조선후기의 유물들이 대대(백관)와 후수(백관)가 연결되어 있어 착용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3] 조선말기에는 대대(백관)와 후수(백관)가 장식적이고 화려하게 변화되어 색상도 다양해졌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백관 | 대대(백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의 조복 | 대대(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제복 | 대대(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대대(백관) | 조복 상의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대대(백관) | 제복 상의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대대(백관) | 조복 하상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대대(백관) | 제복 하상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심동신(沈東臣, 1824∼?)의 후수와 대대.[5]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1677~1764)의 조복 착용 초상.[6]
이익정(李益炡, 1699~1782)의 조복 착용 초상.[7]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의 조복 착용 초상.[8]
영상
주석
- ↑ 정혜경, 『深衣』,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203쪽.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57쪽~61쪽.
-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8쪽.
-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8쪽.
-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20쪽. .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6, 2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高光林, 「金冠 朝服에 關한 硏究」,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12, 1978.
- 古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李相恩, 『朝鮮王朝服飾史論』, 東方圖書, 1992.
- 李善熙, 「祭服의 起源과 變遷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朴京子, 「祭禮의 思想과 祭服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石宙善, 『衣』, 고려서적주식회사, 1985.
- 임상임ㆍ유관순ㆍ추미경, 「조선후기 죽산(竹山) 박씨 집안의 조복(朝服)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赤綃衣·赤綃裳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권 5호, 한국의류학회, 2002.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