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생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대생갑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대생갑개구_종묘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PAGENAME}}
+
|대표명칭= 생갑
 
|한자표기= 牲匣
 
|한자표기= 牲匣
 
|영문명칭=
 
|영문명칭=
30번째 줄: 30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종묘의궤|『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생갑(牲匣) || [[종묘의궤|『종묘의궤(宗廟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PAGENAME}}''' || [[제례|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생갑(牲匣) || [[제례|제례(祭禮)]]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2017년 9월 14일 (목) 19:47 판


생갑(牲匣)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생갑
한자표기 牲匣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길례(吉禮)-제례(祭禮)에 사용
관련장소 종묘(宗廟)



정의

소, 양, 돼지의 희생을 담는 제기이다.

내용

나무로 만들며 흑칠을 하였다.
신위(神位)를 중심으로 오른쪽부터 돼지, 양, 소의 순서로 올리며 각실마다 3개를 두었다.
크기에 따라 대생갑(大牲匣), 소생갑(小牲匣)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생갑(牲匣) 『종묘의궤(宗廟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생갑(牲匣) 제례(祭禮)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종묘의궤(宗廟儀軌)』
  2. 『종묘의궤(宗廟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online, 국립고궁박물관.
  • "제기도설(祭器圖說)", 「오례의」『세종실록』,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박례경, "대생갑(大牲匣)",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례경, "소생갑(大牲匣)",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례경, "삼합생갑(三合牲匣)",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제기 종류", 『문화콘텐츠닷컴』online, 문화콘텐츠닷컴.
  • "제기", 『종묘대제』online, 종묘제례보존회.

더 읽을거리

  •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