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세조]]가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1459년(세조5) 부왕과 세자였던 [[도원군 |도원군(桃源君)]]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석보상절]]』을 대폭 수정하여 『월인석보』라는 새로운 문헌을 만들었다. [[김수온 |김수온(金守溫)]]과 [[신미 |신미(信眉)]]·[[수미 |수미(守眉)]] 등 11명이 당시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의 편찬은 [[세종]] 말엽부터 [[세조]]에 이르기까지 약 13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으로, 석가 일대기의 결정판일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불경언해서로 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초간본을 바탕으로 1568년 [[희방사 |희방사(喜方寺)]]에서 권1과 권2를 복각했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 소장본은 그중 권1이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을 포함한 「[[훈민정음 예의본 |예의본(例義本)]]」, 「[[월인천강지곡]] 서문」, 「[[석보상절]] 서문」, 『월인석보』 권1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강대학교 소장 초간본에 비해 [[변상도]] 1점이 추가되어 있어 가치가 뛰어나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 + | [[세조]]가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1459년(세조5) 부왕과 세자였던 [[도원군 |도원군(桃源君)]]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석보상절]]』을 대폭 수정하여 『월인석보』라는 새로운 문헌을 만들었다. [[김수온 |김수온(金守溫)]]과 [[신미 |신미(信眉)]]·[[수미 |수미(守眉)]] 등 11명이 당시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의 편찬은 [[세종]] 말엽부터 [[세조]]에 이르기까지 약 13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으로, 석가 일대기의 결정판일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불경언해서로 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초간본을 바탕으로 1568년 [[희방사 |희방사(喜方寺)]]에서 권1과 권2를 복각했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 소장본은 그중 권1이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을 포함한 「[[훈민정음 예의본 |예의본(例義本)]]」, 「[[월인천강지곡]] 서문」, 「[[석보상절]] 서문」, 『월인석보』 권1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강대학교 소장 초간본에 비해 [[변상도]] 1점이 추가되어 있어 가치가 뛰어나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8쪽.</ref><!--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
===편찬동기=== | ===편찬동기=== |
2017년 9월 8일 (금) 23:03 판
월인석보 | |
한자명칭 | 月印釋譜 |
---|---|
영문명칭 | A Korean translated book of episodes from the life of Sakyamuni Buddha |
작자 | 세조 |
간행시기 | 1568년 복각 |
간행처 | 희방사 복각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C12-8C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1.2×22.0㎝ |
판본 | 목판본 |
수량 | 1책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세조가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세조가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1459년(세조5) 부왕과 세자였던 도원군(桃源君)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석보상절』을 대폭 수정하여 『월인석보』라는 새로운 문헌을 만들었다. 김수온(金守溫)과 신미(信眉)·수미(守眉) 등 11명이 당시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의 편찬은 세종 말엽부터 세조에 이르기까지 약 13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으로, 석가 일대기의 결정판일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불경언해서로 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초간본을 바탕으로 1568년 희방사(喜方寺)에서 권1과 권2를 복각했는데 장서각 소장본은 그중 권1이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을 포함한 「예의본(例義本)」, 「월인천강지곡 서문」, 「석보상절 서문」, 『월인석보』 권1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강대학교 소장 초간본에 비해 변상도 1점이 추가되어 있어 가치가 뛰어나다.[1]
편찬동기
죽은 부모와 일찍 죽은 아들을 위한다고 되어 있지만,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왕위에 올라 사육신 등 많은 신하를 죽인 끝에 당하는 정신적인 고통, 회한과 무상(無常)의 깊은 수렁에서 벗어나 구원을 얻기 위하여 추진된 것으로 보인다. [2]
구성
이 책은 『석보상절』로 미루어서 모두 24권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중간본까지 합쳐도 완질이 되지 못한다. [3]
가치
『월인석보』는 한글 창제 직후에 간행된 산문 자료로서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권1 앞에 『훈민정음 언해본(諺解本)』이 실려 있어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이 책은 세종과 세조의 2대에 걸쳐 임금이 짓고 편찬한 것으로, 현존본에 나타난 판각기법이나 인출(印出) 솜씨 등을 보면 조선 초기 불교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종의 훈민정음 반포 당시에 편찬, 간행되었던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세조 때 다시 편집하였기 때문에, 초기의 한글 변천을 살피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 초기에 유통된 중요경전이 취합된 것이므로 당시 불교 경전의 수용태도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세종어제훈민정음 (월인석보) (해독) |
• 월인천강지곡제일 (월인석보) (해독) |
• 석보상절제일 (월인석보) (해독)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월인석보 편찬 | 월인석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월인석보 | 월인천강지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월인석보 | 석보상절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월인석보 | 김수온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신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수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설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홍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효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지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해초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사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학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학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희방사 | 월인석보 | A는 B를 중간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를 소장하였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 | 훈민정음 언해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 | 월인천강지곡 서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 | 석보상절 서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 | 월인석보 권1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 | 변상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59년 | 세조가 월인석보를 간행하였다 |
1568년 | 선조가 월인석보를 복각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920248 | 128.456985 | 월인석보는 희방사에서 복각되었다 |
37.392258 | 127.054364 | 월인석보 희방사본 권1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월인석보 27면 석보상절 서문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8쪽.
- ↑ "월인석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발췌.
- ↑ "월인석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발췌.
- ↑ "월인석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발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영배, 「월인석보(月印釋譜) 제이십이(第二十二)에 대하여」, 『한국문학연구』8, 1985
- 천혜봉, 「월인석보(月印釋譜) 제칠(第七)·팔(八) 해제(解題)」, 『영인 월인석보』제7·8, 동국대학교출판부, 1981
- 안병희, 「중세어(中世語)의 한글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 고찰(考察)」, 『규장각』3, 서울대학교도서관, 1979
- 박상국, 「월인석보목판고」, 『문화재』11, 1977
- 정연찬, 「월인석보(月印釋譜) 제일(第一)·이(二) 해제(解題)」, 『영인 월인석보』제1·2, 서강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72
- 민영규, 「월인석보해제(月印釋譜解題)」,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69
- 이동림, 「월인석보(月印釋譜)와 관계불경(關係佛經)의 고찰(考察)」, 『백성욱박사송수기념불교학논문집』, 1959
유용한 정보
- "월인석보 목판본 도난, 월인석보 목판본 도난, 한겨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online , 네이버, 작성일: 1993년 12월 28일. - "월인석보 도난, 월인석보 도난, 한겨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online , 네이버, 작성일: 1993년 12월 29일. - "홍천 수타사, 홍천 수타사 월인석보",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online , 네이버, 작성일: 1999년 05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