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왕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0번째 줄: 20번째 줄:
  
 
=='''내용'''==
 
=='''내용'''==
이 작품은 신라 30대 왕 [[신라 문무왕|문무왕(文武王, ?-681)]]의 [[표준영정]]으로, 1974년 [[김기창|운보 김기창(雲甫 金基昶, 1913-2001)]]이 그렸다. 1977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칠백의총관리소]]에 소장되어 있다.
+
이 작품은 신라 30대 왕 [[신라 문무왕|문무왕(文武王, ?-681)]]의 [[표준영정]]으로, 1976년 [[김기창|운보 김기창(雲甫 金基昶, 1913-2001)]]이 그렸다. 1977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으며, 1977년 [[경주 통일전]]에 봉안된 이후 [[경주 통일전]]에 지금까지 소장되어 있다.
  
 
관복차림의 이 인물상은 직접 보고 그린 것은 아니지만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옷은 간략하게 담채(淡彩)만 곁들여 그린 전통 초상화이다. 말총이 촘촘히 보이는 방건, 포실포실한 수염과 이마의 주름살까지 놓치지 않는 세밀함은 그가 초기에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의 문하에 있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굳건해 보이는 얼굴 표정과 두 눈은 의병장으로서의 기개를 보여주고 있다. 얼굴의 윤곽선과 눈 주위, 코선을 붉은 선으로 둘러놓은 것도 전통적인 초상화 기법이다.<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0324 조헌 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현대미술관.</ref>
 
관복차림의 이 인물상은 직접 보고 그린 것은 아니지만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옷은 간략하게 담채(淡彩)만 곁들여 그린 전통 초상화이다. 말총이 촘촘히 보이는 방건, 포실포실한 수염과 이마의 주름살까지 놓치지 않는 세밀함은 그가 초기에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의 문하에 있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굳건해 보이는 얼굴 표정과 두 눈은 의병장으로서의 기개를 보여주고 있다. 얼굴의 윤곽선과 눈 주위, 코선을 붉은 선으로 둘러놓은 것도 전통적인 초상화 기법이다.<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KO-00324 조헌 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소장품』<sup>online</sup></online></html>, 국립현대미술관.</ref>

2017년 9월 2일 (토) 22:51 판

문무왕 표준영정
한자명칭 文武王 標準影幀
작가 김기창
제작시기 1977년
지정연도 1977년
소장처 칠백의총관리소
유형 표준영정
재질 비단에 채색(영정화)
크기(세로×가로) 181×121㎝


정의

신라 30대 왕 문무왕(文武王, ?-681)의 모습을 그린 표준영정.

내용

이 작품은 신라 30대 왕 문무왕(文武王, ?-681)표준영정으로, 1976년 운보 김기창(雲甫 金基昶, 1913-2001)이 그렸다. 1977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으며, 1977년 경주 통일전에 봉안된 이후 경주 통일전에 지금까지 소장되어 있다.

관복차림의 이 인물상은 직접 보고 그린 것은 아니지만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옷은 간략하게 담채(淡彩)만 곁들여 그린 전통 초상화이다. 말총이 촘촘히 보이는 방건, 포실포실한 수염과 이마의 주름살까지 놓치지 않는 세밀함은 그가 초기에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의 문하에 있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굳건해 보이는 얼굴 표정과 두 눈은 의병장으로서의 기개를 보여주고 있다. 얼굴의 윤곽선과 눈 주위, 코선을 붉은 선으로 둘러놓은 것도 전통적인 초상화 기법이다.[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무왕 표준영정 표준영정 A는 B에 해당한다
문무왕 표준영정 조헌 A는 B를 묘사하였다
문무왕 표준영정 경주 통일전 A는 B에 있다
김기창 문무왕 표준영정 A는 B를 그렸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김기창문무왕 표준영정을 그렸다.
1977년 문무왕 표준영정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 문무왕 표준영정경주 통일전에 봉안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798318 129.240159 문무왕 표준영정경주 통일전에 소장되어 있다.

주석

  1. "조헌 영정", 『소장품』online, 국립현대미술관.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더 읽을거리

  • "조헌 영정", 『소장품』online, 국립현대미술관.
  • "조헌",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