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정현 |영문명칭=Jeonghyeon |한자=鼎賢 |생년=972년(광종 23) |몰년=1054년(문종 8) |시호=혜소국사(慧昭國...)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출신지= | |출신지= | ||
|승탑= | |승탑= | ||
− | |승탑비= | + | |승탑비=[[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 | }} | ||
2017년 8월 31일 (목) 13:03 판
정현(鼎賢) | |
대표명칭 | 정현 |
---|---|
영문명칭 | Jeonghyeon |
한자 | 鼎賢 |
생몰년 | 972년(광종 23)-1054년(문종 8) |
시호 | 혜소국사(慧昭國師) |
법호 | 정현(鼎賢) |
성씨 | 이씨(李氏) |
승탑비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혜소국사 정현(慧昭國師 鼎賢)의 어머니는 밝은 달이 방 안에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였다.
부모가 가사와 보현보살 탱화를 조성하여 서원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정현이 안성 지방의 유력 가문 출신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
출가수행
정현은 어린 나이에 출가하여 광교사(光敎寺) 충회(忠會)의 제자가 되었고, 죽산 칠장사(七長寺)의 융철(融哲)에게서 유가행(瑜伽行: 유가 즉, 요가법에 의한 수행)을 배웠다.[2]
참현(參玄)의 시대[3]에 이르러 바야흐로 출가할 것을 결심하고 곧 바로 광교사(光敎寺)에 가서 충회대사(忠會大師)를 은사로 하여 정수리에 있는 주라(周羅: 상투)를 잘라 버리고, 몸에는 가사를 입고 스님이 되었다. (결락) 종지(宗旨)를 구하기 위해 (결락) 부지런히 정진(精進)하였다. 13살 때 스스로 생각하기를, "만행문중(萬行門中)에 구화(傴和)가 가장 중요하지만 성(性)과 상(相)이 함께 통하는 것은 십칠지(十七地)인 유가교문(瑜伽敎門)만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이제 종전에 의행(依行)하던 구화문(傴和門)을 버리고 이 유가수행문(瑜伽修行門)으로 나아가야겠다"고 하였다. 고향과 먼 곳에있는 칠장사(漆長寺)에 가서 융철(融哲)스님을 예방하였더니, 철(哲)스님이 말씀하시기를, "어제 밤 꿈에 동방(東方) (결락) 보살을 친견 (결락) 야(也)라" |
||
출처: 이지관, "죽산 칠장사 혜소국사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310-311쪽. |
활동
정현은 996년(고려 성종 15) 승과(僧科)에 급제한 뒤 칠장사로 돌아왔다.[4]
통화(統和) 14년[5]에 미륵사(彌勒寺)의 오교(五敎)대선(大選)에 나아가서 선정(禪定)의 법운을 화정(火頂)의 문(門)으로 배출하며,높이 번갯불과 같이 민첩한 변설을 날려작감(嚼甘) (결락) 난(瀾)하되, 그 명성이 강장(講場)에 떨쳤으며 칭송이 담회(談會)에 쟁쟁하였다. 이에(仍) (결락) 옥(玉)을 타산(它山)에서 캐고 배를 타고 해외에 가서 유학하지 않고도 이미 보주(寶珠)를 적수(赤水)에서 탐색하였다. 이와 같이 제방(諸方)으로 다니면서 심사방도(尋師訪道)하다가, 뒤에 본사(本寺)인 칠장사(漆長寺)로 돌아갔다. | ||
출처: 이지관, "죽산 칠장사 혜소국사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312-313쪽. |
고려 목종 때인 999년에는 28세의 나이로 대사(大師)가 되었으며, 현종 때에는 법계(法階)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정현의 생애에서 주목할 것은 만년의 사회적 활동이다. 그는 1044년(정종 10) 개성 광제사(廣濟寺) 문 앞에서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을 베풀었으며, 이듬해에는 도적과 맹수가 들끓는 삼각산 자락의 교통 요충지에 사현사(沙峴寺)라는 사찰을 창건하면서 여행객을 위한 숙박 및 편의시설을 함께 조성하였다.[6]
1046년 |문종이 즉위하자 입궐하여 『금고경(金鼓經)』을 강론하였고, 1048년(|문종 2)에는 문덕전(文德殿)[7]에서 8권의 『금광명경(金光明經)』을 강론하였다. 특히 1048년에는 큰 가뭄이 있었는데 정현이 경전을 소리 내어 읽자 비가 내렸다고 한다.
이듬해인 1049년(|문종 3)에는 |문종의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1054년(|문종 8)에는 국사(國師)가 되었다.
입적
1054년(|문종 8) 칠장사로 돌아온 정현은 그해 11월 15일 문인들에게 임종게(臨終偈)[8]를 남기고 앉아서 입적하였다. 나이 82세, 법랍 74세였다.[9]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정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060년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김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충회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
융철 | 정현 | A는 B의 스승이다 | |
정현 | 수원 광교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
정현 | 개성 영통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정현 | 개성 법천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정현 | 개성 현화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서울 사현사 | 정현 | A는 B가 창건하였다 | |
정현 | 안성 칠장사 |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 |
정현 | 승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정현 | 고려 문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972년 | 정현이 태어남. |
996년 | 정현이 승과에 급제함. |
999년 | 정현이 대사가 되었음. |
1045년 | 정현이 서울 사현사를 창건함. |
1049년 | 정현이 왕사가 되었음. |
1054년 | 정현이 국사가 되었음. |
1054년 | 정현이 안성 칠장사에서 입적함. |
1060년 | 정현의 탑비인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가 안성 칠장사에 건립됨.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76쪽.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흑발(黑髮)의 동자(童子) 시절.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요(遼)나라 성종(聖宗)대의 연호. 십사재(十四載)는 996년(성종 15).
-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77쪽.
- ↑ 고려시대 시종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기관.
- ↑ 고승들이 입적할 때 수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후인들에게 전하는 마지막 말이나 글.
-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남동신, 「칠장사혜소국사비명을 통해 본 정현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연구』 No.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468-486쪽.
- 이지관, "죽산 칠장사 혜소국사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300-334쪽.
- "정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칠장사혜소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