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소재)
(정의)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 화백의 민족기록화.
+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민족기록화.
  
 
=='''설명'''==
 
=='''설명'''==

2017년 8월 31일 (목) 12:18 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학술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서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작품 중앙에 위치한 나무 탁자 위에는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이다.[1]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그림 읽기

김정호대동여지도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지리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김정호 청구도 A는 B를 제작하였다 1834년
김정호 대동여지도 A는 B를 제작하였다 1861년
청구도 대동여지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청구도 청구도제 A는 B를 포함한다
김정호 청구도제 A는 B에 언급되었다
최한기 청구도제 A는 B를 저술하였다
김정호 최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김정희 최한기 A는 B의 스승이다
김정호 김정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김정희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신헌 금당초고 A는 B를 저술하였다
김정호 금당초고 A는 B에 언급되었다
김정호 오주연문장전산고 A는 B에 언급되었다
오주연문장전산고 언해두창집요 A는 B에 언급되었다
허준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저술하였다
김정호 이향견문록 A는 B에 언급되었다
강학태 대동여지도(소설) A는 B를 저술하였다 1991년 3월 1일
대동여지도(소설)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대동여지도(소설)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김태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1834년 김정호청구도를 제작하였다
1861년 김정호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1991년 3월 1일 강학태대동여지도(소설)를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3608313 127.3832193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이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작품의 배경은 해당 작품의 소장처인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서 확인할 수 있었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제 곱자", 『문화원형 라이브러리』online, 문화콘텐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