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업적)
(관련항목)
63번째 줄: 63번째 줄:
 
| [[원효]] || [[요석공주]] || A의 아내는 B이다 ||
 
| [[원효]] || [[요석공주]] || A의 아내는 B이다 ||
 
|-
 
|-
| [[원효]] || [[의상]] || A는 B의 동문이다 ||
+
| [[원효]] || [[의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대승기신론]] || [[원효]] || A는 B가 저술하였다 ||
 
| [[대승기신론]] || [[원효]] || A는 B가 저술하였다 ||

2017년 8월 23일 (수) 17:34 판

원효(元曉)
대표명칭 원효
한자표기 元曉
영문명칭 Wonhyo
생몰년 617년-686년
이칭 서당(誓幢), 신당(新幢)
시호 원효(元曉)
화정(和淨)
출생지 경상북도 경산
시대 신라시대
국적 신라
대표저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배우자 요석공주(瑤石公主)
담날(談捺)
자녀 설총(薛聰)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개요

성은 설(薛)씨, 시호 및 법명은 원효(元曉), 호는 화정(和淨)이며, 아명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이다.[1] 경상북도 경산 출신이다.

담날(談捺)의 아들인 원효는 655년에서 660년 즈음에 요석공주(瑤石公主)의 사이에서 설총(薛聰)을 낳았다.[2]

업적

원효의 깨달음

661년, 신라가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키고 고구려마저 점령하기 위해 한창 통일 전쟁을 치르고 있던 때였어. 배움에 목말라 있던 신라의 승려 원효와 의상은 부푼 꿈을 안고 선진 불교를 배우기 위해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어.

당시 당나라에는 현장 법사가 불교의 전성기를 이끌어가고 있었어. 당나라 불교계의 새로운 바람은 신라에도 전해져서 신라의 많은 승려들은 당나라 유학을 원했고, 원효와 의상 또한 현장 법사 밑에서 공부하기를 간절히 원했던 거야. 이들은 오직 부처를 향한 마음으로 경주를 출발했어.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었어 두 사람은 몇날 며칠을 걸어 충청남도 직산 지방에 이르렀어. 어두워져 동굴에서 잠을 자게 되었는데, 이때 원효는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게 돼.

“해골에 담긴 물은 어젯밤이나 오늘이나 똑같은데, 어이하여 어제는 달디단 물이었던 것이 오늘은 구역질을 나게 하는가? 그렇다! 어제와 오늘 사이에 달라진 것은 내 마음일 뿐이다. 진리는 결코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 원효는 그토록 원했던 깨달음을 해골물에서 얻었어.

원효는 경주로 돌아와 자신의 깨달음을 세상에 널리 알리기 위해 책 쓰기에 몰두했어. 그는 일생 동안 150여 권의 책을 세상에 남겼어. 그중 《대승기신론소》, 《금강삼매경론》, 《십문화쟁론》은 중국과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유명해.[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담날 원효 A는 B의 아버지이다
원효 설총 A의 아들은 B이다
원효 요석공주 A의 아내는 B이다
원효 의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대승기신론 원효 A는 B가 저술하였다
금강삼매경론 원효 A는 B가 저술하였다
십문화쟁론 원효 A는 B가 저술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원효대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원효대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공미라, 『한국사 개념사전』,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0. 온라인 참조: "원효", 어린이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