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강사포 하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강사포 하상 국조오례의서례 규장각.jp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강사포 하상 김아람.jpg
|사진출처= 『국조오례의서례』
+
|사진출처= 궁중기록화팀
|대표명칭=
+
|대표명칭= 강사포 하상
|한자표기=
+
|한자표기= 絳紗袍 下裳
 
|이칭별칭=  
 
|이칭별칭=  
 
|구분= 의복
 
|구분= 의복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시대 왕과 왕위 계승자. 대한제국 황제와 황위 계승자가 조복 즉 [[통천관]]복, [[원유관]]복 차림을 할 때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위에 두르는 하의(下衣)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9쪽.</ref>
+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의 조복으로, [[통천관]][[원유관]]을 쓸 하의에 입는 겉옷으로,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위에 두른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9쪽.</ref>
  
 
=='''내용'''==
 
=='''내용'''==
26번째 줄: 26번째 줄:
  
 
===기타===
 
===기타===
상의 가장자리에 있는 선을 벽(綼)이라 하고 아래에 있는 선을 석(緆)이라 하며, 벽과 석의 넓이는 각각 1촌 반씩하여 안과 겉을 합하면 3촌이 된다. 이 역시 면복의 상과 같다.<ref>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64쪽.</ref>
+
상의 가장자리에 있는 선을 벽(綼)이라 하고 아래에 있는 선을 석(緆)이라 하며, 벽과 석의 넓이는 각각 1촌 반씩하여 안과 겉을 합하면 3촌이 된다. 이 역시 [[면복 하상]]과 같다.<ref>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64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3번째 줄: 33번째 줄: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
 
|-
| '''{{PAGENAME}}'''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황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원유관]] || A는 B에 착용한다
+
| [[황태자]] || '''{{PAGENAME}}''' || A는 B에 착용한다
 
|-
 
|-
|'''{{PAGENAME}}''' || [[국조오례의서례]]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왕세손]] || '''{{PAGENAME}}''' || A는 B에 착용한다
 +
|-
 +
| [[왕의 조복]] || '''{{PAGENAME}}''' ||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
|-
 +
| [[왕세자의 조복]] || '''{{PAGENAME}}''' ||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
|-
 +
| [[황제의 조복]] || '''{{PAGENAME}}''' ||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
|-
 +
| [[황태자의 조복]] || '''{{PAGENAME}}''' ||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
|-
 +
| '''{{PAGENAME}}''' || [[국조오례의서례]]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51번째 줄: 61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 궁중기록화 복식 강사포 하상 국조오례의서례 규장각.jpg|하상<br/> 규장각. 『국조오례의서례』
+
파일: 궁중기록화 복식 강사포 하상 국조오례의서례 규장각.jpg|『국조오례의서례』강사포 하상.
 
</gallery>
 
</gallery>
  

2017년 8월 21일 (월) 01:02 판


강사포 하상
(絳紗袍 下裳)
궁중기록화팀
대표명칭 강사포 하상
한자표기 絳紗袍 下裳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의 조복으로, 통천관원유관을 쓸 때 하의에 입는 겉옷으로, 중단(中單) 위에 두른다.[1]

내용

복식세부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옷이다.[2]

형태

앞[전상(前裳)]과 뒤[후상(後裳)]를 따로 만들어 허리부분에 많은 주름을 잡아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붙인 형태이다. 앞쪽은 홀수인 3폭, 뒤쪽은 짝수인 4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수는 양(陽)을 짝수는 음(陰)을 상징한다.[3] 면복 하상과 형태는 같으나 장문(章文)이 없다.

기타

상의 가장자리에 있는 선을 벽(綼)이라 하고 아래에 있는 선을 석(緆)이라 하며, 벽과 석의 넓이는 각각 1촌 반씩하여 안과 겉을 합하면 3촌이 된다. 이 역시 면복 하상과 같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강사포 하상 A는 B를 착용하였다
왕세자 강사포 하상 A는 B를 착용하였다
황제 강사포 하상 A는 B를 착용하였다
황태자 강사포 하상 A는 B에 착용한다
왕세손 강사포 하상 A는 B에 착용한다
왕의 조복 강사포 하상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왕세자의 조복 강사포 하상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황제의 조복 강사포 하상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황태자의 조복 강사포 하상 A는 B을 일습으로 갖춘다
강사포 하상 국조오례의서례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9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9쪽.
  4.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64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