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 | + | |사진=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첩지 | |대표명칭= 첩지 | ||
|한자표기= 貼只 | |한자표기= 貼只 | ||
|이칭별칭= | |이칭별칭= | ||
− | | | + | |구분= 수식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여성 | ||
− | |||
− | |||
}} | }} | ||
2017년 6월 28일 (수) 23:05 판
첩지 (貼只) |
|
대표명칭 | 첩지 |
---|---|
한자표기 | 貼只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여성들이 평상시 혹은 예복을 입을 때 앞 가르마 위에 얹어 치장하던 장신구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착용상황
평상시 혹은 예복을 입을 때 착용한다.
형태
형태는 앞부분의 장식만 달랐을 뿐 7~8㎝ 길이의 동체는 모두 수평을 이루고 꼬리부분만 날씬하게 위로 향한 모양이다. 첩지는 동체만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받침대 위에 얹고, 받침대 양쪽으로 다리를 붙여 사용한다. 받침대 중앙에 올려놓은 첩지는 앞부분과 중앙, 꼬리부분 등 세곳을 다홍색 실로 5~7번정도 떠서 고정시키며, 받침대는 검정색 천으로 싸고 다리는 양쪽 끝부분만 조금 땋아 댕기를 드려놓아 끝이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2]
착용방법은 첩지를 가르마 위에 얹은 뒤 양쪽의 다리를 원래 머리와 함께 빗어내려 쪽을 지어 고정한다.
황후는 도금 용첩지, 왕비는 도금 봉첩지를 착용했다. 내외명부는 품계에 따라 도금이나 흑색 무소뿔로 만든 개구리 첩지를 착용했다.[3]
기타
첩지는 예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쓴 족두리나 화관이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첩지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첩지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첩지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첩지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첩지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91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91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