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요)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전체 높이 3.58m, 비신 높이 2.6m, 너비 2.3m. 탑비는 대석(臺石), [[귀부|귀부(龜趺)]], 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다. 탑비의 건립 연대는 1234년([[고려 고종|고종]] 21) [[혜심]]이 입적한 이후인 고려 고종 때로 추정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130000,36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전체 높이 3.58m, 비신 높이 2.6m, 너비 2.3m. 탑비는 대석(臺石), [[귀부|귀부(龜趺)]], 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다. 탑비의 건립 연대는 1234년([[고려 고종|고종]] 21) [[혜심]]이 입적한 이후인 [[고려 고종]] 때로 추정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130000,36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비문은 [[이규보|이규보(李奎報)]]가 짓고 [[김효인|김효인(金孝印)]]이 썼으며, 뒷면의 음기(陰記)는 [[혜심]]의 입적 후 16년이 지난 1250년([[고려 고종|고종]] 37)에 [[최자|최자(崔滋)]]가 짓고 [[탁연|탁연(卓然)]]이 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398 월남사지진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비문은 [[이규보|이규보(李奎報)]]가 짓고 [[김효인|김효인(金孝印)]]이 썼으며, 뒷면의 음기(陰記)는 [[혜심]]의 입적 후 16년이 지난 1250년([[고려 고종|고종]] 37)에 [[최자|최자(崔滋)]]가 짓고 [[탁연|탁연(卓然)]]이 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398 월남사지진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
2017년 6월 15일 (목) 22:24 판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
|
대표명칭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
한자 | 康津 月南寺址 眞覺國師碑 |
주소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1길 106-1(월남리) 월남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13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비문: 이규보(李奎報), 음기: 최자(崔滋) |
서자 | 비문: 김효인(金孝印), 음기: 탁연(卓然)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혜심(慧諶) |
|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사지(月南寺址)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진각국사 혜심(眞覺國師 慧諶, 1178-1234)의 탑비.
내용
개요
전체 높이 3.58m, 비신 높이 2.6m, 너비 2.3m. 탑비는 대석(臺石), 귀부(龜趺), 비신(碑身)으로 구성되어 있다. 탑비의 건립 연대는 1234년(고종 21) 혜심이 입적한 이후인 고려 고종 때로 추정된다.[1]
비문은 이규보(李奎報)가 짓고 김효인(金孝印)이 썼으며, 뒷면의 음기(陰記)는 혜심의 입적 후 16년이 지난 1250년(고종 37)에 최자(崔滋)가 짓고 탁연(卓然)이 썼다.[2]
여의주를 머금고 있는 귀부는 사실적 조각 기술을 보이는 조형이며, 비좌(碑座)에는 간결하게 구름무늬를 새겼다.[3] 비신은 원래 매우 컸다고 하나 윗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아랫부분만 남아 있으며,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비문은 잘 보이지 않는다.[4]
비문
탑비는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비문을 판독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동국이상국집』, 『동문선』, 『조선금석총람』 등에 수록된 글을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5]
비문은 수선사(修禪社)의 제2세 사주(社主)인 진각국사가 향공진사의 아들로 태어나 과거에 급제한 후 보조국사 지눌에게 출가하여 간화선을 수행하고 지눌에 이어 수선사의 사주가 되어 강종(康宗)의 지원으로 수선사를 확장하고 집정자 최우(崔瑀)는 두 아들을 국사에 출가시키는 등 연관을 맺고 월등사(月燈寺)에서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 음기는 음기 건립 사실과 승려와 재가 문도들을 열거하였다.[6]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강진 월남사 | A는 B에 있었다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강진 월남사지 | A는 B에 있다 | |
강진 월남사지 | 강진 월남사 | A는 B의 터이다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이규보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최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김효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탁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혜심 | A는 B를 위한 탑비이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월남사지진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위석, "혜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월남사지진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