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개요)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비신 높이 183cm, 너비 104cm, 두께 17cm.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는 이수가 없는 형식으로 비신 상단 양 끝을 접듯이 잘라놓았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08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비신 높이 183cm, 너비 104cm, 두께 17cm.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는 이수가 없는 형식으로 비신 상단 양 끝을 접듯이 잘라놓았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08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넓다란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거북받침돌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에는 6각형의 무늬마다 ‘왕(王)’자를 질서정연하게 새겨놓았으며, 등 중앙에는 연꽃을 둘러 새긴 네모난 받침대를 조각하여 비몸을 끼워두게 하였다. 비몸의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 역시 고려 중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2520000,37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비문은 당대의 문신 [[이공로|이공로(李公老)]]가 지었고 [[김효인|김효인(金孝印)]]이 썼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08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넓다란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거북받침돌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에는 6각형의 무늬마다 ‘왕(王)’자를 질서정연하게 새겨놓았으며, 등 중앙에는 연꽃을 둘러 새긴 네모난 받침대를 조각하여 비몸을 끼워두게 하였다. 비몸의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 역시 고려 중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2520000,37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비문은 당대의 문신 [[이공로|이공로(李公老)]]가 지었고 [[김효인|김효인(金孝印)]]이 썼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08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보물 제252호에 지정되어있다. |
===비문=== | ===비문=== |
2017년 6월 9일 (금) 17:50 판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
|
대표명칭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in at Bogyeongsa Temple, Pohang |
한자 |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
주소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보경사 (중산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252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이공로(李公老) |
서자 | 김효인(金孝印) |
승려 | 원진(圓眞) |
승탑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포항 보경사에 있는 원진국사 승형(圓眞國師 承逈, 1171-1221)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 높이 183cm, 너비 104cm, 두께 17cm.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는 이수가 없는 형식으로 비신 상단 양 끝을 접듯이 잘라놓았다.[1] 넓다란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거북받침돌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에는 6각형의 무늬마다 ‘왕(王)’자를 질서정연하게 새겨놓았으며, 등 중앙에는 연꽃을 둘러 새긴 네모난 받침대를 조각하여 비몸을 끼워두게 하였다. 비몸의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 역시 고려 중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2] 비문은 당대의 문신 이공로(李公老)가 지었고 김효인(金孝印)이 썼다.[3] 현재 보물 제252호에 지정되어있다.
비문
전면
후면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원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이공로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김효인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김세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김세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