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nica-jang (토론 | 기여)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견마기 |한자표기= 肩亇只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복식구...) |
Monica-jang (토론 | 기여)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이미지= | |이미지=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버선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 襪 |
− | |이칭별칭= | + | |이칭별칭= |
− | |복식구분= | + | |복식구분= 기타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여성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발을 보호하고 따뜻하게 하며, 발 모양을 맵시 있게 하기 위해 발에 신는 것이다. | |
+ | 천으로 만들어서 족의라고도 하고 한자어로는 말이라고 하는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양말이라는 말은 서양에서 들어온 버선이라는 의미이다. 조선 중종22년(1527) | ||
+ |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에는 보션말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 그 이전부터 '보션'이라 불리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
+ | 버선의 형태를 보면 발을 넣는 부분을 버선부리라고 하고 버선을 재봉한 가운데 세로선을 수눅이라고 한다.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넓이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 버선의 종류로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 | ||
+ |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홑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등이 있다. 그 밖에 어린이용의 타래버선, 꽃서번이 | ||
+ | 있다. | ||
+ | 버선을 만들기 위한 바느질 용구로는 버선의 본을 뜬 버선본과 버선코를 예쁘게 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선코빼기가 있다. 또한 버선주머니가 있는데 이는 버선본을 보관하던 것으로 각 식구마다 버선본을 보관하여 간편하게 버선을 만들었다. | ||
+ | 신라시대에는 버선과 버선목이 따로 된 것을 신었으며, 신분에 따라 사용 직물의 종류가 달랐다. | ||
+ |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 | ||
==내용== | ==내용== |
2017년 6월 7일 (수) 11:30 판
버선 (襪)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버선 |
---|---|
한자표기 | 襪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발을 보호하고 따뜻하게 하며, 발 모양을 맵시 있게 하기 위해 발에 신는 것이다. 천으로 만들어서 족의라고도 하고 한자어로는 말이라고 하는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양말이라는 말은 서양에서 들어온 버선이라는 의미이다. 조선 중종22년(1527)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에는 보션말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 그 이전부터 '보션'이라 불리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버선의 형태를 보면 발을 넣는 부분을 버선부리라고 하고 버선을 재봉한 가운데 세로선을 수눅이라고 한다. 발목 부분은 회목이라고 하며 버선의 넓이를 버선볼이라고 한다. 또한 버선 끝부분에 위로 치켜 올라간 부분을 버선코라 하고, 발뒤꿈치의 둥근 부분을 뒤축이라 한다. 버선의 종류로는 용도에 따라 일반용과 예복용,
형태에 따라 곧은버선(고들목버선)과 누인버선,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홑버선, 겹버선, 솜버선, 누비버선 등이 있다. 그 밖에 어린이용의 타래버선, 꽃서번이 있다.
버선을 만들기 위한 바느질 용구로는 버선의 본을 뜬 버선본과 버선코를 예쁘게 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선코빼기가 있다. 또한 버선주머니가 있는데 이는 버선본을 보관하던 것으로 각 식구마다 버선본을 보관하여 간편하게 버선을 만들었다. 신라시대에는 버선과 버선목이 따로 된 것을 신었으며, 신분에 따라 사용 직물의 종류가 달랐다. [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일반 부녀자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외출용 웃옷으로 일상적인 저고리 위에 착용하였다. 소례복(小禮服)인 당의보다는 아래급의 예복이다.[2]
형태
조선 전기 유물로 볼때, 장저고리(당의)와 단저고리의 중간 길이에 해당된다. 본래 곁마기는 길이가 길어서 겨드랑이 아래 쪽 옆선 부분인 곁이 막혔다는 의미의 곁막이라는 말에서 생성된 명칭이다. 요즈음 곁막이 또는 곁마기라는 용어는 옷의 명칭으로 보다는 저고리 겨드랑이 부분의 이색 장식 조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3]
견마기는 시류에 따라 옷 모양에 변화를 보여 조선 초중기에는 길이 60~70㎝ 내외의 옆막힘 저고리 형태였던 것이 조선 후기에는 점차 짧아지고 금박으로 장식을 더하여 화려한 형태로 변화되었다.
자주색이나 초록색을 사용하였으며 소매에는 당의와 같이 흰 거들지를 달았다.[4]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버선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버선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버선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버선 | 스란치마 | A는 B에 착용한다 |
버선 | 악학궤범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
-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