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6번째 줄: 26번째 줄: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ref>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ref>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ref>,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ref>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ref>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ref>,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ref>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ref>『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지금은 병속에 새 찾을 곳 없고, 낙조 속에 비바람에 씻긴 비석만 남아있네"라는 조선시대 초기 문장가인 유호인(1445~1494)이 쓴 글이 인용되는데, 이를통해 당시 인각사의 사세가 매우 기울어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ref> 1890년에는 일연의 승탑지에 조상의 묘를 쓰려다 실패한 황보씨에 의해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일연선사 비와 전각]]이 파괴되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ref>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ref>『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지금은 병속에 새 찾을 곳 없고, 낙조 속에 비바람에 씻긴 비석만 남아있네"라는 조선시대 초기 문장가인 유호인(1445~1494)이 쓴 글이 인용되는데, 이를통해 당시 인각사의 사세가 매우 기울어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ref><ref>「강설루중수기」 1890년에는 일연의 승탑지에 조상의 묘를 쓰려다 실패한 황보씨에 의해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일연선사 비와 전각]]이 파괴되었다.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리===
 
===지리===

2017년 5월 24일 (수) 16:51 판

군위 인각사지
(軍威 麟角寺址)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지
한자 軍威 麟角寺址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612)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74호
문화재 지정일 1992년 05월 28일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642년
경내문화재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로 동화사의 말사이다.[1][2]

내용

역사

인각사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가 창건했다는 것이다.[3][4]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5]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6],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7] 또한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8]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9],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10]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지리

인각사는 화산(華山)의 서북쪽 기슭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화산의 능선이 끝나는 곳에는 개울이 있는데 이 개울을 건너면 절이 자리한 인각 마을이 있다. 개울 맞은편에는 깎아지는 듯한 절벽이 있는데 그 정상은 학소대(鶴巢臺)라고 한다. 절 이름과 마을 이름에 공통적으로 들어간 '인각(麟角)'이라는 명칭은 이러한 주변 지형과 관련이 깊다. 이 지역은 기린(麒麟)이 노닐다가 뿔이 암벽에 걸려서 떨어진 곳이라고 하는데 인각마을의 위치가 그 뿔의 지점에 해당되기 때문에 인각 마을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11]

Quote-left.png

인각사 화산(華山) 동네 어귀에 있는데 석벽이 깎아지른 듯하다. 속담에 전하기를,“옛날 기린이 이 석벽에 뿔을 걸쳤다 해서 이렇게 불렀다.”한다.

Quote-right.png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12]


특징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 있다
일연 군위 인각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일연 A는 B를 위한 비이다
삼국유사 군위 인각사지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284년 일연군위 인각사에 주석하며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1289년 일연군위 인각사에서 입적하였다
1362년 군위 인각사에 무무당이 건립되었다
1407년 군위 인각사가 자복사찰로 지정되었다
1890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가 훼손되었다
1992년 군위 인각사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2010년 군위 인각사에 대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다

주석

  1. "군위인각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문화재청에서 지정한 정식명칭은 '군위 인각사지'이지만 2010년부터 복원사업이 추진되면서 절터가 아니라 이제 하나의 사찰로 볼 수도 있다.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642년이면 의상(625~702)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617~686) 648년에 황룡사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4. 하지만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
  5. 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
  7.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9.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지금은 병속에 새 찾을 곳 없고, 낙조 속에 비바람에 씻긴 비석만 남아있네"라는 조선시대 초기 문장가인 유호인(1445~1494)이 쓴 글이 인용되는데, 이를통해 당시 인각사의 사세가 매우 기울어 있었음을 볼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10.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11.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12. 이민수(역), 『신증동국여지승람』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1969. 온라인 참조: "의흥현", 신증동국여지승람 제 27권 경상도 의흥현,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참고문헌

  • 김진덕, 「군위 인각사지 5차발굴조사 개보」, 신라사학보 15호, 2009, 271~296쪽.
  • 황원갑, 『고승과 명찰』, 바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