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6번째 줄: 26번째 줄: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후 1307년에 크게 중건하였고,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ref>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ref>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ref>,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일연은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42 군위 인각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후 1307년에 크게 중건하였고,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ref>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ref>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ref>,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일연은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ref>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1890년경에는 일연선사 비와 전각이 파괴되었고 1934년과 1956년에는 대웅전과 요사채가 각각 붕괴되었다. 1992년부터는 인각사 복원을 위해 발굴작업이 진행되어 현재까지도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ref>
+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ref>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ref>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1890년경에는 일연의 승탑지에 조상의 묘를 쓰려다 실패한 황보씨에 의해  일연선사 비와 전각이 파괴되었다.<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51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ref>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ref>"[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1 인각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5월 24일 (수) 14:57 판

군위 인각사지
(軍威 麟角寺址)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지
한자 軍威 麟角寺址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화북리 612)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74호
문화재 지정일 1992년 05월 28일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642년
경내문화재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1]

내용

역사

인각사의 창건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설이있다. 하나는 642년에 의상이 창건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643년에 원효가 창건했다는 것이다.[2][3] 이후 1307년에 크게 중건하였고, 1284년에는 인각사가 일연의 하산소[4]로 지정되었다. 일연은 인각사에 5년간 머무르면서 나라의 후원을 받아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5], 두 번에 걸쳐 구산선문회를 열면서 인각사가 구산선문의 중심사찰이 되도록 하였다.[6] 또한 일연은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본당 뒤에 무무당이 건립되어 총림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1407년에는 인각사가 조계종의 자복사찰[7]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점점 사세가 기울어, 1555년에는 인각사의 토지가 임고서원에 이속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서 폐사상태에 이르렀고, 1721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1890년경에는 일연의 승탑지에 조상의 묘를 쓰려다 실패한 황보씨에 의해 일연선사 비와 전각이 파괴되었다.[8] 1992년 이후 5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마쳤고, 이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비 등 총 113억 원을 투입하여 인각사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9]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주석

  1. "군위인각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642년이면 의상(625~702)이 불과 18세 때이고, 원효(617~686) 648년에 황룡사에서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두 가지 설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3. 하지만 1991년 말 경북대학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대웅전터로 추정되는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구가 확인되어 신라 말기에는 이미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군위 인각사지", 『두산백과』online.
  4. 왕사로 책봉되어 주석한 곳을 말한다.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용검에게 절을 수리하게 한뒤 토지 백여경을 하사하였다. 박기용, 『문학:명저의 탐방; 삼국유사의 산실 인각사』, 선비문화 1권 0호, 2004, 58쪽.
  6.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왕실의 기복을 비는 사찰이다. 당시 인각사가 의흥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16 - 경북의 전통사찰Ⅲ』, 사찰문화연구원, 2001, 136쪽.
  8. "⑬군위 인각사" 『금강신문』, 작성일: 2009년 3월 20일.
  9. "인각사", 『조선왕조실록사전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