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기본 정보==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 '''간략한 내용'''
 
** 1638년(인조16) 10월 3일에서 4일에 걸쳐 [[삼간택]] 시행과 관련해 예조에서 올린 계사dp 이번 [[가례]]는 앞서 봄부터 왕비 [[간택]]에 들어갔으나, 사대부가에서 응하는 자가 없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진행이 늦어짐.  
 
** 1638년(인조16) 10월 3일에서 4일에 걸쳐 [[삼간택]] 시행과 관련해 예조에서 올린 계사dp 이번 [[가례]]는 앞서 봄부터 왕비 [[간택]]에 들어갔으나, 사대부가에서 응하는 자가 없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진행이 늦어짐.  
 
** [[가례]]를 치르는 데 참고할 이전 [[가례의궤]]들이 [[병란]]으로 모두 산실됨에 따라 부득이하게 [[태백산사고|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의 [[실록]] 기록을 참고하여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도 겪음. 마침내 [[삼간택]]을 조금 앞둔 10월 5일 [[가례도감]]이 설치되어 본격적인 [[가례]]의식 준비에 들어감.  
 
** [[가례]]를 치르는 데 참고할 이전 [[가례의궤]]들이 [[병란]]으로 모두 산실됨에 따라 부득이하게 [[태백산사고|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의 [[실록]] 기록을 참고하여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도 겪음. 마침내 [[삼간택]]을 조금 앞둔 10월 5일 [[가례도감]]이 설치되어 본격적인 [[가례]]의식 준비에 들어감.  
 
** 왕비의 최종 간택은 10월 26일, [[납채]]는 11월 4일, [[납징]]은 11월 16일, [[고기]]는 11월 30일, [[책비]]는 12월 2일, [[친영]]과 [[동뢰연]]은 12월 3일에 거행.
 
** 왕비의 최종 간택은 10월 26일, [[납채]]는 11월 4일, [[납징]]은 11월 16일, [[고기]]는 11월 30일, [[책비]]는 12월 2일, [[친영]]과 [[동뢰연]]은 12월 3일에 거행.
  
* '''목록(目錄)'''
+
* '''목록'''
 
**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중궁전자별궁예궐시반차도(中宮殿自別宮詣闕時班次圖).
 
**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중궁전자별궁예궐시반차도(中宮殿自別宮詣闕時班次圖).
* 특징:
+
 
 +
* '''특징'''
 
** 현존하는 가례도감의궤들 가운데 이른 시기에 편찬된 것으로서, 후대 의궤들에 비해 내용이 소략하고 체제도 다소 정돈되지 못한 느낌을 줌.
 
** 현존하는 가례도감의궤들 가운데 이른 시기에 편찬된 것으로서, 후대 의궤들에 비해 내용이 소략하고 체제도 다소 정돈되지 못한 느낌을 줌.
** ** [[친영례]] 거행 장소로 쓰여 온 [[태평관]] 대신, [[봉림대군|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저인 [[어의동 별궁|어의동 별궁(於義洞 別宮)]]에서 [[친영례]]를 거행토록 하라는 10월 9일자 [[인조]]의 傳敎.
+
** [[친영례]] 거행 장소로 쓰여 온 [[태평관]] 대신, [[봉림대군|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저인 [[어의동 별궁|어의동 별궁(於義洞 別宮)]]에서 [[친영례]]를 거행토록 하라는 10월 9일자 [[인조]]의 전교.
 
** [[가례]]에서 간택된 왕비와 세자빈이 [[입궁]] 전 머무르는 [[별궁]]으로 이 [[어의궁|어의궁(於義宮)]]이 줄곧 이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  
 
** [[가례]]에서 간택된 왕비와 세자빈이 [[입궁]] 전 머무르는 [[별궁]]으로 이 [[어의궁|어의궁(於義宮)]]이 줄곧 이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004&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004&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2017년 5월 3일 (수) 23:20 판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신경진(申景禛)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638년(인조 18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강화부)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1책 193장: 어람용/ 1책 164장: 강화부
도설 9면(채색), 반차도 8면(채색)



정의

  • 1638년(인조 16) 10월부터 12월까지 조선 제16대 왕인 인조(仁祖, 1595~1649, 재위 1623~1649)와 계비(繼妃)인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씨(趙氏, 1624~1688)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1638년(인조16) 10월 3일에서 4일에 걸쳐 삼간택 시행과 관련해 예조에서 올린 계사dp 이번 가례는 앞서 봄부터 왕비 간택에 들어갔으나, 사대부가에서 응하는 자가 없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진행이 늦어짐.
    • 가례를 치르는 데 참고할 이전 가례의궤들이 병란으로 모두 산실됨에 따라 부득이하게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실록 기록을 참고하여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도 겪음. 마침내 삼간택을 조금 앞둔 10월 5일 가례도감이 설치되어 본격적인 가례의식 준비에 들어감.
    • 왕비의 최종 간택은 10월 26일, 납채는 11월 4일, 납징은 11월 16일, 고기는 11월 30일, 책비는 12월 2일, 친영동뢰연은 12월 3일에 거행.
  • 목록
    • 예관(禮關),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의장색(儀仗色), 삼방옥책색(三房玉冊色), 삼방기명색(三房器皿色), 중궁전자별궁예궐시반차도(中宮殿自別宮詣闕時班次圖).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복 A는 B를 보여준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한다
가례 가례도감 A는 B에서 주관한다